전경련 “기업들 동반성장 위해 중소기업에 유휴자산 활용 증가할 전망”

입력 2014-08-06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전경련협력센터 “유휴자원 온라인 거래장터 열 계획”

(사진제공=전경련)

동반성장활동의 하나인 유휴자산 활용이 향후 더 늘어날 것으로 조사됐다.

유휴자산이란 사내에서 활용하지 않거나 사용빈도가 낮은 자산 또는 협력사 등 다른 기업과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자산을 통칭한다. 다른 기업에 개방했을 때 저작권 위반이 되지 않는 콘텐츠, 기술 트렌드의 급격한 변화 등의 사유로 산업적으로 활용되지 않는 특허권․실용신안권 등의 지식재산권 등의 무형 유휴자산과 다른 기업에 개방할 수 있는 시험장비 및 연수원․연구개발 공간․물류창고, 사무가구, 사무기기 등의 시설을 일컫는 유형 유휴자산이 있다.

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는 2013년 동반성장지수 평가대상기업 100개사를 대상으로 한 ‘주요 기업 유휴자산의 중소기업 지원현황과 촉진과제 실태조사’를 6일 발표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응답업체 55곳 중 36개사가 현재 사내 유휴자산을 협력사 또는 거래관계가 없는 중소기업이 활용하도록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향후 3년안에 지원할 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기업은 12개사로 나타나, 2016년에는 지난해보다 33.3% 늘어난 48개사로 증가할 것으로 조사됐다.

36개사의 유휴자산 활용 지원분야는 ‘온라인 직무교육 콘텐츠’(27개사), ‘특허권·실용신안권’(14개사), ‘생산설비’(12개사), ‘연구장비’(9개사) 순이다. 이 가운데, ‘온라인 직무교육 콘텐츠’는 협력사 임직원 7만710명, 일반중소기업 임직원 1만2092명 등 총 8만2802명의 교육에 활용됐다. 이어, ‘특허권·실용신안권’은 14개사가 5129건을 중소기업에 공개하고, 223건을 중소기업이 활용하도록 소유권을 이전해 주거나, 실시권을 부여했다. ‘연구장비’는 9개사가 1209건을 무상(989건) 또는 유상(220건)으로 사용하도록 지원했다.

이들 기업이 중소기업에 유휴자산 활용을 지원하는 사유로는 ‘대·중소기업간 동반성장활동’(61.1%)이 가장 많았다.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지원’(33.3%), ‘자사의 유휴자산 유지비용 절감’(5.6%)이 뒤를 이었다.

응답기업들은 유휴자원 지원시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유휴자산 지원에 수반되는 실질적 인센티브 부족’ (27.6%)’, ‘유휴자산 중개비용, 인력 등 업무부담 과다’(24.1%), ‘수요 중소기업 발굴 곤란’(22.4%)을 꼽았다.

또한 대기업의 유휴자산이 협력사 등에 활용되기 위한 촉진과제에 대해 ‘특허유지비 전액면제, 이전설치비 지원 등 유휴자산 공급기업과 수요기업에 대한 인센티브 강화’(18개사), ‘전문기관의 유휴자산 중개지원’(8개사), ‘사내 동반성장 전담조직과 유휴자산 관리조직간 업무공조체계 구축으로 협력사와 유휴자산 정보공유 촉진’(8개사) 순으로 선호했다.

양금승 협력센터 소장은 “앞으로 협력센터는 주요 대기업과 함께 ‘유휴자원 온라인 거래장터’를 열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대기업이 보유하나 사용빈도가 낮은 유휴자산을 수요가 있는 중소기업이 활용하도록 적극 지원해 중소기업의 기술력과 생산성을 높이고, 건강한 산업생태계가 조성되는 데 더욱 힘써 나가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