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GDP 전기比 0.6% 성장…‘세월호’에 7개 분기만에 최저치

입력 2014-07-24 08:15수정 2014-07-24 10:1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민간소비 0.3% 감소…11개 분기만에 가장 낮아

올해 2분기 경제성장률이 전기 대비 0.6%로 7개 분기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3.6% 성장해 4개 분기 연속 증가하던 성장률이 뒷걸음질쳤다. 수출은 견조한 증가세를 지속했지만, 세월호 참사로 인한 민간소비 감소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에 따르면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직전 분기보다 0.6% 증가했다. 이는 2012년 3분기(0.4%) 이후 최저치다. 분기 성장률은 작년 4분기부터 3개 분기 연속 0%대에서 움직이고 있다.

올해 2분기 실질 GDP는 작년 동기 대비로는 3.6% 늘었다. 작년 3분기(3.4%) 이후 증가율이 가장 낮은 수준이나,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교역조건이 개선된 영향으로 1.3% 증가해 전분기(0.9%)보다 성장률이 높아졌다.

2분기 성장률 둔화는 세월호 참사 이후 민간소비 증가율이 마이너스로 돌아서고 지식재산생산물 투자 또한 큰 폭으로 감소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민간소비는 재화와 서비스 소비가 모두 줄어 전분기보다 0.3% 감소했다. 2011년 3분기(-0.4%) 이후 2년 9개월(11개 분기) 만에 최저치이며, 작년 1분기(-0.1%) 이후 5개 분기 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한 셈이다.

건설투자는 건물 건설이 늘어나 0.6% 증가했으나 1분기의 5.1%에는 크게 못 미쳤다. 설비투자는 수출 등에 힘입어 1.3% 늘어나 전분기의 마이너스 성장(-1.9%)에서 벗어났다.

한편 수출은 LCD, 화학제품 수출이 늘어 1.9% 증가했고 수입은 자동차 수입, 거주자 해외소비 증가로 0.8% 늘었다. 반면 지식재산생산물투자는 특허권 관련 국외지출 등이 줄어 4.2% 감소했다.

경제활동별로는 제조업이 1.1% 증가했고 건설업도 0.4% 늘었다. 서비스업 성장률은 0.7%로 전분기(0.6%)보다 소폭 증가했으나 도소매 및 음식숙박(-0.1%)과 운수 및 보관업(-0.5%)이 부진했다. 전기가스수도업은 온화한 날씨로 난방수요가 줄어 2.3% 감소했고 농림어업은 양돈, 한육우 사육두수 감소로 4.1% 줄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