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재난안전통신망 사업에 LTE 자가·상용 혼합 방식 유력

입력 2014-07-21 18:4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가재난안전통신망 구축 방식이 롱텀에볼루션(LTE)의 자가망·상용망 혼합 사용으로 가닥이 잡혔다.

21일 미래창조과학부와 관련 업계 등에 따르면 미래부는 최근 재난안전통신망 태스크포스 회의를 열어 이러한 방향으로 사업을 추진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가재난안전통신망 사업은 소방·경찰·군·지방자치단체 등 재난 대응기관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운용하는 무선통신망을 단일망으로 통합해 재난 현장에서 일사불란한 지휘·협조 체제를 만드는 프로젝트다.

기술 방식의 경우 LTE가 가장 널리 사용되는데다 이외에 마땅한 대한이 없다는 점이 고려됐다. 이전 정부에서 유력하게 검토한 테트라(TETRA. 유럽 디지털 주파수 공용 통신 표준규격)처럼 기술 종속의 우려가 없다는 점도 참작됐다.

활용방식으로는 기존에 이통사들이 사용해온 상용망과 재난통신 전용인 자가망을 혼합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이 낙점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래부는 최소한의 비용으로 자가망을 구축하되 재난 현장 인근의 상용망을 적절하게 활용하는 방식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단, 자가망 관리·운영 주체에 대해서는 조만간 설립될 재난안전처에서 전담하는 방안과, 별도의 공공기관을 설립하는 안, 일반 기업에 맡기는 안 등을 놓고 계속 검토 작업을 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