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주공산'강원랜드, 경영미흡에 노조파업까지 '설상가상'

입력 2014-07-16 09: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방만경영 계획 18개 중 16개 미흡...노조 총파업 선언

사장과 부사장이 모두 사퇴해 공석인 강원랜드가 경영개선 미흡과 노조파업으로 내홍을 겪고 있다.

앞서 강원랜드 최홍집 전임 사장은 지난 6·4 지방선거에서 강원지사 후보로 출마하기 위해 2월 사임했다. 이어 부사장도 태백 오투리조트 지원 관련 감사원 해임 요구로 지난 4월 물러났다.

이 가운데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방만경영 중점관리기관으로 지정된 강원랜드의 경영개선도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실제로 국회에 제출한 업무보고에 따르면 강원랜드가 최초 계획한 18개의 방만경영 개선 개획 중 16개 항목이 미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완료된 2개의 항목 또한 체육행사 미시행, 임차숙소관리비 지원 폐지 등 지엽적인 부분에 불과하다. 강원랜드 측은 오는 8월 내 노사합의 완료를 통해 방만경영 개선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복안이다.

하지만 이마저도 노조파업으로 공언(空言)에 그칠 모양새다.

실제로 지난 13일 강원랜드 노조는 강원랜드의 복지제도 축소 등에 반대하며 시행한 총파업 찬반 투표가 96.65% 찬성률을 기록하며 가결됐다고 밝혔다.

노조는 총액기준 3.5% 임금 인상을 요구하며 어린이집 건립과 기숙사 1인 1실 운영, 사회공헌기금 100억 출연 등을 주장하고 있다.

때문에 총액기준 1.7% 임금 인상과 함께 대학생 자녀 학자금 무상지원, 건강검진 지원, 자녀 보육비 지원 등 현 18개 항목에 대해 정부의 요구대로 축소 또는 폐지를 제안한 사측과는 크게 엇갈리는 양상이다.

이에 따라 노조는 16일 파업출정식을 시작으로 '조끼투쟁'에 이어 다음달 초부터 하계휴가 파업을 예고하고 있다.

이밖에 강원랜드는 관광세 신설 등으로 세부담이 크게 늘어날 지방세법 개정안과 백지화된 하이원엔터테인먼트사업의 후폭풍도 감수해야할 처지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공석인 사장과 부사장을 속히 선임해 강원랜드의 경영공백을 해소해야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하지만 노조의 반발로 부사장 공모까지 1차 무산된 상황에서 강원랜드의 '중심잡기'는 당분한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