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볕 더위에 내 차와 안전 지키는 관리법은

입력 2014-07-14 10:3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불볕더위가 이어지는 여름철에는 차량을 망가뜨리거나 대형사고를 불러올 수 있는 자동차 관련 위험요소가 많다.

시민단체 '자동차 10년 타기 시민연합'(이하 시민연합)은 14일 여름철 운전자와 차량 안전을 지키기 위한 올바른 관리법을 소개했다.

우선 폭염 속 밀폐된 차량에 일회용 가스라이터, 실내 탈취제 등 가스가 있는 제품과 휴대전화 등 전자기기를 내버려두면 폭발할 위험이 크다.

한낮 기온이 35도를 웃돌 때 차량을 외부에 세 시간만 주차해도 고온의 직사광선 때문에 차량 내부 온도가 최고 90도까지 치솟기 때문이다.

이런 온도에서는 용기에 담긴 주스나 탄산음료도 폭발하기 때문에 무심코 차 안에 놔두는 행위를 삼가야 한다.

달아오른 차량 표면에 피부가 직접 닿으면 자칫 화상도 입을 수 있다.

따라서 실내 주차장 또는 그늘에 차를 세우는 것이 좋고, 부득이하게 실외에 주차할 때는 창 유리를 살짝 열어두거나 햇빛 차단막 등을 활용해 실내 온도를 낮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오랫동안 실외에 세워둔 차량을 탈 때는 에어컨을 세게 튼 상태에서 차 문을 열고 닫기를 4∼5번 정도 반복해주면 좋다. 이렇게만 해도 차 내부 온도는 크게 떨어진다.

최대 300도까지 상승하는 여름철 엔진 과열 또한 대형사고를 불러올 수 있는 위험 요소다.

자동차 냉각수의 정상 온도는 보통 85∼95도인데, 100도에 가까워지면 냉각수가 주행 중에 끓어 엔진 과열이 발생한다.

이런 경우 엔진이 치명적인 손상을 입어 부품 내구성과 연비가 줄거나 최악에는 화재가 발생하기 때문에 운전자는 냉각수의 구성 요소인 부동액 관리지침을 꼭 준수하도록 한다.

냉각수 농도가 진해져 막히는 현상을 막도록 부동액이 아닌 맹물을 넣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불볕더위가 이어지다 국지성 호우가 쏟아지는 날씨 특성상 운전자가 무심코 선루프나 창 유리를 열어놨다가 차 안에 빗물이 들어차 '침수차'가 되는 경우도 종종 있다.

임기상 시민연합 대표는 "침수차가 되면 종합보험에 가입했어도 보험처리나 보증수리가 안 되기 때문에 운전자만 낭패를 보기 십상"이라며 "변덕스러운 여름철 날씨를 고려해 기상정보를 항상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