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아는 만큼 보이고 든 만큼 말한다 -가재산 피플스그룹 대표

입력 2014-07-08 11:0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평소 말하는 습관이나 행동은 그 사람의 인격과 인품을 나타낸다. 누구를 만나도 희망과 긍정의 말투로 말하는 사람도 많지만 첫마디부터 부정의 말투를 가진 사람도 있다.

옛날에 박씨 성을 가진 나이 지긋한 백정이 장터에서 푸줏간을 하고 있었다. 당시에는 백정이라면 천민 중에서도 최하층 계급이었다. 어느 날 양반 두 사람이 고기를 사러왔다.

첫 번째 양반이 거친 말투로 말했다.

“야, 이 백정 놈아! 고기 한 근 대령해라!”

“예, 그렇습지요.” 그 백정은 대답하고 저울에 달아 정확히 한 근의 고기를 떼어주었다.

두 번째 양반은 상대가 비록 천한 백정이지만, 나이 든 사람에게 함부로 말을 하는 것이 거북했다. 그래서 점잖게 부탁했다.

“여보시게, 박서방! 여기 고기 한 근 주시게나.”

“예, 그러지요, 고맙습니다.” 그 백정은 기분 좋게 대답하면서 고기를 듬뿍 잘라주었다. 첫 번째 고기를 산 양반이 옆에서 보니, 같은 한 근인데도 자기한테 건네준 고기보다 아무래도 갑절은 더 많아 보였다.

그 양반은 몹시 화가 나서 소리를 지르며 따졌다.

“야, 이놈아! 같은 한 근인데, 왜 이 사람 것은 이렇게 많고, 내 것은 이렇게 적으냐?” 그러자 그 백정이 태연하게 대답했다.

“네, 그거야 손님 고기는 ‘백정 놈’이 자른 것이고, 이 어른 고기는 ‘박 서방’이 자른 것이니까요.”

우리나라 사람들은 의외로 상대방에 대한 배려의 마음이 적은 편이다. 특히 가볍게 던지는 말 한 마디조차도 상대방에게 기분을 거슬리게 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운전을 하다 가벼운 접촉 정도의 교통사고 났을 때 노상에서 삿대질하며 고성으로 싸움을 하는 경우를 종종 목격하게 되는데 선진국에서는 이러한 일을 보기 힘들다. 이는 상대방에게 던지는 말에 배려가 없기 때문에 가는 말이 거칠다보니 결국 교통사고와 무관하게 삿대질까지 동원되는 싸움판으로 변질되고 만다.

원래 일본 사람들은 유난히 남을 배려하는 마음이 상당히 습관화되어 있다. 오죽하면 일본에는 상대방의 귀에 거슬리거나 남이 싫어하는 이야기는 하지 않으려고 면전에서는 속내(이를 ‘혼네’라고 함)를 말하지 않고, “하이 하이”하면서 상대방에게 기분 상하지 않고 듣기 좋게 겉치례 말인 “다떼마에”라는 말까지 있다.

집안에서 부부싸움이나 고부간의 갈등, 직장에서의 상하간의 갈등, 노사 간의 문제, 특히 요즘 정치인들이 인기가 바닥까지 떨어지는 이유도 대개는 이러한 상대방을 배려하지 않은 거친 말씨에서 출발한다. 상대방을 의식한 작은 말 한마디의 배려는 서로를 존중하게 되고 기분까지도 좋게 해준다.

지난달 모처럼 40년 넘게 가까이 지내던 대학 동창들을 만나 저녁식사를 하기로 하여 조그만 한식집에 모였다. 그중 오랫동안 외국기업에 근무하다가 최근 퇴직한 친구도 있었다. 그 친구는 당뇨병으로 고생하여 어느새 백발머리에 수척한 얼굴 모습이었다. 그런데 이 친구는 처음 나를 보자마자 하는 말이 “야! 그동안 못 본 사이에 네 얼굴이 팍 갔구나?” 이 말을 들은 나의 표정은 일그러지고 오랜만에 만나 반갑다는 생각보다 “너는 어떤데…”하는 반감이 먼저 들었다.

반면에 5분 뒤에 들어온 친구는 사업을 하고 있는 친구라 그런지 내손을 잡으며 아주 반가운 표정과 말투로 “친구 오랜만이야! 너는 어떻게 몸을 관리하길래 이 나이에도 여전히 건강한 모습이구나? 지금도 매일 운동하는 모양이지?”

말은 아무리 많이 하더라도 상대방에게 ‘들린 만큼만 말한 것’이라고 한다. 특히 나이가 들수록 상대방의 말을 듣기보다는 말을 많이 하려고 하다보면 오히려 탈이 나고 만다. 더구나 젊은 사람들 앞에서는 우선 말을 적게 하면서도 상대방에게 기분 나쁘지 않고 호감을 주는 말하는 습관이나 배려의 마음이 필요하다. 분명 말 한마디가 천냥 빚을 갚을 수도 있다는 사실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