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EU FTA 3년차 무역수지 악화…74억 달러 적자

입력 2014-07-14 07:4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우리나라와 유럽연합(EU)의 자유무역협정(FTA) 이후 수출보다 수입을 더 많이 해 2년 연속 무역수지 적자를 냈으며 적자규모도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한·EU FTA 발효 3년차인 2013년 7월∼2014년 5월 EU에 대한 우리나라 수출액은 473억 달러로 전년동기보다 7.8% 증가했다.

수입액은 547억 달러로 12.5% 급증해 무역수지가 74억 달러의 적자를 기록했다. 무역수지는 발효 1년 차에 18억 달러 흑자를 낸 뒤 2년차에 46억 달러 적자로 전환됐다.

산업부는 유럽 재정위기에 따른 경기 침체와 소비심리 위축으로 EU의 수입 수요가 줄고 원·유로 환율이 하락세를 보인 점을 무역수지 악화 이유로 들었다.

특히 기존에 일본 등에서 들여오던 기계, 원유, 석유제품의 수입처를 EU로 바꾼 것도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2013년 7월∼2014년 3월 EU에 대한 일본(-8.0%), 중국(-0.2%) 등 경쟁국의 수출이 감소한 것에 비해서는 선전했다는 평가다.

품목별로는 FTA 혜택(관세 철폐 또는 인하)을 보는 합성수지(19.3%), 플라스틱 제품(7.7%), 조명기기(6.1%)의 수출이 늘었다. 이들 품목의 수출은 3년 연속 증가했다. 발효 2년차에 수출이 감소했던 자동차(7.3%), 자동차부품(16.9%), 고무제품(19.7%)은 증가세로 돌아섰다.

FTA 비혜택 품목 가운데 선박, 평판디스플레이의 수출은 감소했지만 무선통신기기, 석유제품, 반도체 등은 증가했다.

수입이 늘어난 품목은 자동차, 원동기·펌프, 반도체 제조장비, 항공기 및 부품 등이다. 이중 반도체 제조장비의 수입은 136.1% 급증했다.

EU에서 생산한 농수산물은 눈에 띄게 많이 들어왔다. 3년차 농수산물 수입액은 35억 달러로 2년차보다 18.8% 증가했다. 돼지고기, 밀, 포도주, 초콜릿, 맥주 등이 주도했다. FTA 발효 전 해와 비교하면 32.1% 늘어난 것이다.

이와 달리 우리나라가 EU에 수출한 농수산물은 2.5% 늘어난 4억 달러에 불과했다. 김, 미역, 오징어, 문어, 과일 등의 수출이 증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