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 임 병장 책임공방 일파만파, 군 "병원이 요청" VS 병원 "대역 요청한 적 없어"

입력 2014-06-25 09:1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가짜 임 병장

(사진=뉴시스)

군 당국이 동부전선 일반전방소초(GOP) 총기난사범 임모 병장(22)의 이송 과정에서 취재진을 피하기 위해 가짜 임병장을 동원한 사실이 드러난 가운데 군과 강릉아산병원이 책임을 떠넘기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국방부 관계자는 24일 "강릉아산병원 측에서 '응급실 앞에 취재진이 많아 진료가 제한되니 별도의 통로를 준비하겠다'며 국군강릉병원에 가상의 환자를 준비해달라고 요청했다"고 말했다. 국방부는 "이런 내용이 국군강릉병원장인 손모 대령에게 보고됐고 그렇게 하기로 협의가 됐다"고 덧붙였다.

이 관계자는 "강릉아산병원은 응급실로 들어가는 길목이 좁아 구급차가 들어가기 어려웠고 임 병장의 혈압도 매우 위험한 수준이어서 곧바로 처치하지 않으면 목숨을 잃을 수도 있었다"며 "이런 점 때문에 강릉아산병원에서 요청한 것"이라고 말했다.

병원 측은 정면으로 반박했다.

취재진이 없는 별도의 통로를 마련하겠다거나, 가상의 환자를 준비해 달라'고 요청한 사실이 전혀 없어 국방부의 발표 내용은 전혀 사실과 다르다는 주장이다.

병원 측 역시 취재진이 몰려 있는 곳을 지나 처치실로 옮기고 나서야 비로소 환자가 대역인 줄 알았다는 입장이다.

당시 군 당국은 임 병장 생포 직후에도 그를 후송하는 병원이 국군강릉병원이라고 말했다가 이를 다시 강릉동인병원으로 정정, 또 다시 강릉아산병원으로 바꿔 말했다. 이 역시 취재진을 따돌리기 위한 의도였다는 분석이다.

앞서 무장탈영한 임 병장은 23일 오후 2시 55분께 고성군 현내면 인근 야산에서 군의 투항 권고 중 자신의 소총으로 왼쪽 가슴 위쪽에서 어깨 사이를 쏴 자해를 시도했다.

생포된 임 병장은 곧바로 군 구급차로 강릉 아산병원으로 이송됐다. 가짜 임 병장은 강릉아산병원 응급실 정문으로, 진짜 임 병장은 지하 3층 수화물주차장 쪽을 거쳐서 지상 2층 수술실로 옮겨졌다.

들것에 실린 채 머리부터 발끝까지 하늘색 모포를 덮고 있는 병사가 이동하자 현장 취재진들은 카메라 셔터를 눌러 댔다. 그 사이 진짜 임 병장은 이미 응급실로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군은 포토라인을 만들어 취재진이 임 병장에게 가까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통제했으면 될 일을 가짜 임 병장까지 내세워 언론과 국민을 속였다는 비난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여기다 군은 그 같은 사실을 즉각 확인해 주지 않는 바람에 언론의 오보를 양산 시켰으며 병원 측이 요구한 일이라며 책임을 떠넘기고 있다는 비판도 피하지 못하게 됐다.

시민들은 "군은 가짜 임 병장 해명까지 거짓말 논란에 휩싸였는데 이러고도 국민의 신뢰를 바라나", "가짜 임 병장 논란...거짓말 하기에 바쁜 정부다", "자해한 탈영 임병장을 병원으로 후송하는과정에서 '가짜 임 병장' 논란이 되고있다.환자를 가로막고 무차별 취재에 대비하기 위한 조치였다고한다 상상이된다. 했으면 그랬겠나 싶다 알권리보다 살인 탈영병이지만 사람 목숨이 중요하다", "어제 가짜 임 병장을 연출한 국방부를 보면서 지금까지 이런식으로 얼마나 많이 국민들의 눈을 속였을까? 라는 의문이 남는다"라는 엇갈린 반응을 보이고 있다 .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