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살다 자가로 옮기는 비중 점차 줄어

입력 2014-06-17 06:4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전세를 살다가 자가로 옮겨가는 비율이 점차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국토연구원의 '주거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세에서 자가로 전환하는 비율은 2005년 53.0%였으나 2008년 38.7%, 2010년 26.1%, 2012년 23.2%로 점차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에는 전세가 자가를 마련하기 위해 거치는 일종의 과도기적 주거 형태였으나 최근 추세는 전세로 살거나 월세로 옮겨가는 경우가 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천현숙 국토연구원 주택·토지연구본부장은 "몇 년 전부터 자기 집에 사는 비율인 자가율이 60%대에서 정체해 있다"며 "자가로 옮겨가야 할 사람들이 전세로 눌러살면서 매매시장 침체의 요인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천 본부장은 "특히 중·고소득층의 전세에서 자가로의 전환이 더 빠른 속도로 이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자가 거주 비중도 2005년 55.6%에서 2010년 54.2%로 1.2%포인트 뒷걸음질 치고 있다. 주택 보급률은 해마다 올라가고 있지만 '내 집'에서 사는 사람들은 반대로 줄고 있는 것이다.

천 본부장은 이에 따라 주택을 살 능력이 있는 사람들이 주택 구매에 나설 수 있도록 하는 정책적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2011년 이뤄진 주거실태 조사에서 '최근 3년간 전세로 살다가 보증부월세로 전환한 경우'를 파악한 결과 전체적인 전환 비율은 8.1%였지만 저소득층의 전환 비율은 이보다 높은 11.9%였다.

전세보다 월세의 주거비 부담이 크다는 점에서 이는 저소득층의 주거비 부담이 더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천 본부장은 "저소득층을 위해서는 임대주택 공급을 확대하면서 주거급여 제도를 탄탄히 해 주거비 부담을 줄여주는 방향으로 정책을 계속 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