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A, KT 사칭 스미싱 문자 주의 당부

입력 2014-06-13 14:1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13일 최근 KT를 사칭한 스미싱 문자가 급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고 이용자의 주의를 당부했다.

이번에 발견된 스미싱 문자는 드롭박스의 특정 인터넷주소와 KT 홈페이지 주소인 ‘(olleh.com)’문자가 결합한 형태다. 해당 문자는 지난달 26일 최초 탐지된 이후 이달 12일까지 1631종의 유사한 문자가 총 47만5009건 탐지됐다. 탐지된 문자 중 47만3350건(99.7%)은 이용자가 문자를 수신하기 전 이동통신사에서 스팸으로 차단했다. 나머지 1659건은 휴대전화 이용자가 수신한 문자를 직접 KISA로 신고한 것이다.

KISA 이상헌 사이버사기대응팀장은 “해당 스미싱 문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므로 유사한 형태의 문자를 받는 경우 인터넷주소를 클릭하지 말고 문자를 즉시 삭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스미싱 문자에 포함된 인터넷주소를 클릭하면 뱅킹앱 업데이트를 가장해 스마트폰에 악성앱이 다운로드 된다. 설치된 악성앱은 기기정보와 사용자 전화번호, 문자메시지 등 개인정보 탈취를 시도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KT 관계자는“이번 스미싱 문자는 KT와는 무관하며‘olleh’등의 브랜드 인지도를 악용해 이용자를 교묘하게 속이려는 수법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KISA는 이동통신사 또는 개인이 스팸으로 차단·신고한 문자를 분석해 악성앱 발견 시 인터넷서비스사업자(ISP)를 통해 악성앱 유포지와 정보유출지를 즉시 차단할 방침이다. 또 백신개발사에 악성앱 샘플을 제공하여 백신을 개발하도록 조치하고 있다.

스미싱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에 포함된 인터넷주소를 클릭하지 말고, 의심스러운 문자는 즉시 삭제하는 것이 안전하다. 만약 스마트폰에 악성앱이 설치된 경우 모바일 백신을 이용하거나 스마트폰 환경 설정에서 해당 앱을 직접 삭제해야 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