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창극 후보 '책임총리 발언, 망언, 논문' 청문회 쟁점으로

입력 2014-06-12 08:52수정 2014-06-12 10:1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무총리 후보자가 12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청사 창성동 별관으로 출근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가 과거 작성했던 보수 성향의 칼럼에 이어 식민지배가 하나님의 뜻이라고 발언한 동영상이 공개되면서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또 책임총리를 처음 들어본다는 발언 등이 구설수에 오르며 청문회를 앞두고 검증 위기에 직면했다.

12일 KBS 보도 등에 따르면 문 후보자는 지난 2011년 자신이 장로로 있는 서울 온누리교회의 특별강연에서 “하나님은 왜 이 나라를 일본한테 식민지로 만들었습니까, 라고 우리가 항의할 수 있겠지, 속으로”라며 “아까 말했듯이 하나님의 뜻이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너희들은 이조 500년 허송세월을 보낸 민족이다. 너희들은 시련이 필요하다”고 일제의 식민지배의 당위론을 인정하는 듯한 주장을 펼쳐 예비 총리로서 역사관에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야당은 즉각적으로 문 후보자의 사퇴를 주장했다. 새정치민주연합 금태섭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내고 문 후보자의 발언에 대해 “대한민국 총리 후보자로서 있을 수 없는 반민족적 망언”이라면서 “박 대통령은 즉각 총리지명을 철회하고 국민 앞에 사과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의당 김제남 원내대변인도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절대 용납할 수 없는 비정상적인 역사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밝혀졌다”면서 “반민족적 친일 인사를 총리 후보라고 내놓은 박 대통령은 즉각 국민에게 사과하고 총리 지명을 철회해야 한다. 문 후보자도 총리 후보 이전에 언론인으로서 공인으로서 이런 망언을 내뱉은 것에 대해 국민 앞에 무릎 꿇고 사죄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앞서 문 후보자는 이날 총리 후보자 집무실이 마련된 정부서울청사 창성동별관으로 출근하는 자리에서 책임총리를 어떻게 구현할 것이냐는 기자의 질문에 “책임총리 그런 것은 저는 지금 처음 들어보는 얘기”라고 말했다. 이어 말 실수인가 아니냐는 질문에서도 “말 실수를 한 것이 기억이 안난다. 말 실수 한 것 없다”고 확인했다. 문 후보자는 논란이 커지자 “‘책임총리’는 법에서 정한 용어가 아니라는 의미”라고 해명했다.

아울러 문 후보자가 특파원 시절 박사학위를 취득한 경위와 논문도 검증대상으로 떠올랐다. 문 후보자는 지난 1993년 서울대에서 ‘한·미 간의 갈등유형 연구’라는 주제의 논문으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하지만 그는 1990년부터 1993년 8월까지 중앙일보 주 워싱턴특파원으로 활동하며 한국이 아닌 미국에서 학위를 취득해 그 과정을 놓고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야당은 “특파원을 하면서 박사 학위를 받지 못하라는 법은 없지만 생업과 학업을 병행하기 힘든 현실 등을 감안해 현미경으로 들여다 보겠다”고 벼르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