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금융사고 책임 전현직 CEO 10여명 징계

입력 2014-06-10 10:4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금융당국이 일벌백계의 의지로 금융회사 최고경영진(CEO) 10여명에게 중징계 또는 문책을 통보했다. 각종 금융사고와 내분으로 몸살을 앓아온 금융권에 솜방망이 처벌을 양산해 온 금융당국이 칼날을 바짝 세웠다.

1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임영록 KB금융지주 회장과 이건호 국민은행장에 대해 잇따른 금융사고와 경영진 내분 사태의 책임을 물어 ‘문책경고’가 예상된다는 중징계를 사전 통보했다. 최고경영진이 KB국민카드 정보유출 사건과 도쿄지점 부당대출, 100억원대 국민주택채권 횡령사건에 이어 전산시스템 교체를 둘러싼 갈등으로 무거운 책임을 지게 됐다.

카드사태와 도쿄지점 비리에 책임이 있는 국민은행 전·현직 임원과 국민은행 주전산기 교체와 관련된 사외이사와 감사도 제재 대상에 포함됐다. 최대 100여명의 임직원이 징계 대상이다.

어윤대 전 회장과 민병덕 전 행장은 각각 카드 개인정보 유출 관리 부실과 도쿄지점 수천억원대 부당대출 관리 부실로 문책경고에 해당하는 중징계를 통보받았다. 박지우 국민은행 고객만족본부 부행장, 김재열 KB금융지주 전무는 직무정지 처분을 통보받았다. 직무정지는 업무 수행을 금지하는 중징계이기 때문에 사퇴가 불가피하다. 전산시스템 교체 문제를 지적하고 감사를 벌인 정병기 국민은행 감사는 주의적 경고에 해당하는 경징계를 통보받았다.

이 밖에 리처드 힐 전 한국SC은행장과 최기의 전 KB국민카드 사장, 박상훈 전 롯데카드 사장, 손경익 전 NH농협카드 분사장 등 전직 카드사 CEO들도 고객 정보 유출 혐의로 중징계 리스트에 포함됐다. 반면 정보 유출 사태로 물의를 일으켰던 하영구 한국씨티은행장은 경징계에 해당하는 주의적 경고가 통보됐다.

무엇보다 KB금융 현 회장과 은행장을 포함한 전·현직 경영진이 무더기 징계 통보를 받으면서 리더십에 치명적 타격을 입게 됐다. 오는 26일 금감원 제재심의위원회에서 중징계가 확정되면 현직 지주 회장과 은행장이 동시에 물러나야 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KB금융과 국민은행은 징계 수위를 낮추기 위해 적극적인 소명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