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 1.7%↑, 19개월만에 최고치…디스인플레이션 우려는 여전

입력 2014-06-03 09:01수정 2014-06-03 10:2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1년 전에 비해 1.7% 상승하면서 1년 7개월만에 최대폭으로 올랐다. 하지만 19개월째 1%대 이하의 낮은 상승률을 보이며 한국은행의 중기물가목표(2.5~3.5%)의 하단에도 못 미치는 저물가 기조를 이어갔다. 최근 완만한 경기회복세에도 원화강세(환율하락)과 민간소비 부진의 압박으로 물가가 낮은 상태를 지속하는 ‘디스인플레이션(disinflation)’ 우려는 쉽게 사그러들지 않을 분위기다.

3일 통계청이 발표한 5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 물가는 작년 같은 달보다 1.7% 상승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석유류와 농산물 가격이 전반적으로 안정돼있지만 작년 5월 하락폭이 큰 데 따른 기저효과로 물가상승률이 근래 들어 가장 높게 나왔다”고 설명했다. 정부의 보육료·유치원비 지원 효과가 사라진 탓도 크다는 분석이다.

5월 소비자물가는 2012년 10월(2.1%) 이후 1년7개월 만에 최대치다. 전년동월대비 소비자물가는 작년 10월 0.9%에서 11월 1.2%로 올라선 후 12월 1.1%, 올해 1월 1.1%, 2월 1.0% 등으로 하향곡선을 그리다가 3월부터 상승폭을 확대했다.

하지만 한국은행의 물가안정목표(2.5∼3.5%)를 여전히 크게 밑도는 수준이다. 2012년 10월 이후 소비자물가는 0.9~1.7% 범위에서 횡보하고 있다. 2년 가까이 1%대 이하의 낮은 상승률을 보이는 역사적인 저물가인 셈이다.

일반적으로 경기가 회복되면 소비자 물가도 상승세가 서서히 확대된다. 기획재정부는 최근 4월 산업활동동향을 통해 소비와 서비스업 분야에서 세월호 사고의 영향을 받았으나, 완만한 경기 개선세는 이어지는 것으로 평가했다.

그럼에도 물가는 2년 가까이 안정목표 범위를 하회하는 1%대의 낮은 상승률이 기록하고 있다. 디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하락) 수준까지는 아니더라도 물가상승률이 둔화되는 디스인플레이션의 초입에 들어섰다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는 이유다. 호주 ANZ은행은 홍콩 소재 레이먼드 융 선임 이코노미스트도 최근 블룸버그에 “원가가치 강세와 세월호 여파로 디스인플레에 대한 우려를 더욱 높이고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이는 26개월째 이어진 경상수지 흑자, 글로벌 달러 약세로 원화값이 상승하며 수입물가가 떨어지고 있는데다 세월호 후유증까지 겹쳐 민간소비가 좀처럼 부진의 늪에서 벗어날 기미가 보이지 않아서다.

전성인 홍익대 교수는 “가파른 환율 하락에 소비수요와 소득증가율은 추세적인 둔화 흐름을 보이고 있어 소비자 물가가 크게 오르기는 힘들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단순히 소비진작을 독려하는 차원에서 그치지 말고 실질적인 소득증진, 부채탕감 대책을 통해 저물가 우려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현재의 물가하락세가 디스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경제 악영향을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는 시각도 있다. 김성태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예상보다 물가가 빠르게 오르는 것은 아니지만 하반기 경기회복 흐름을 타고 향후 물가상승세는 서서히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