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29일 올해 세계 경제는 3.4%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작년 10월에 내놓은 전망치 3.6% 보다 0.2% 포인트 내려잡은 것이다. 미국, 독일과 같은 선진국은 회복 기조를 이어가겠지만 중국, 브라질, 러시아 등의 신흥개도국의 성장세가 눈에 띄게 둔화되고 있다는 점이 하향 조정 배경이다. 앞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이달 초 세계경제 성장률을 작년 11월 전망치(3.6%)보다 0.2%포인트 내려잡았다. 국제통화기금(IMF)도 지난 1월 3.7%에서 4월 3.6%로 성장률을 소폭 하향조정했다. 중국 경제 경착륙 우려, 미국 양적완화 축소 영향, 유로존 금융시장 불안정성, 일본 재정긴축 등의 리스크 요인이 여전히 상존하고 있어 세계경제의 성장세가 장기 경기침체의 국면으로 접어든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보다 근본적인 원인으로는 생산활동과 가계소비 의욕 저하에 따른 수요 부진이 꼽힌다. 유로존은 지난해 -0.3% 성장률에서 올해 1.1%로 돌아섰지만 저물가 기조로 디플레이션 가능성이 남아있는 데다 실업률이 10%를 넘는 회원국이 많다는 게 걸림돌로 지목됐다. 일본 경제도 아베노믹스 정책 효과 약화로 성장세가 둔화해 올해 1.3%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중국의 경우 1분기 중 소매판매와 고정자산투자 증가율은 작년 4분기(13.5%, 19.6%)보다 낮은 각각 12.0%, 17.6%를 기록, 수출, 투자, 소비 등 성장 동력이 약화되면서 경착륙 가능성이 부각되고 있다. 중남미도 자금조달비용 상승과 대형인프라투자 축소에 따른 투자부족과 고물가 등 소비부진으로 저조한 성장세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됐다. 러시아 역시 올해 정정불안과 실질소득감소로 투자와 소비부진이 계속돼 0.2% 성장에 그칠 것으로 내댜봤다.
이일형 KIEP 원장은 “전세계적으로 청년층을 중심으로 한 높은 실업률, 소비 회복의 지속가능성 여부, 인프라 투자같은 장기적인 투자들이 저조한 것이 문제”라고 진단했다.
우리나라의 수출 비중이 높은 중국(26.1%), 유럽연합(8.7%), 중남미(6.5%) 등의 수요 부진은 한국경제에 직격탄이 될 수 있다.규모가 작은 개방형 경제가 특징인 우리나라는 대외수요 회복에 따라 설비투자 규모 등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실제 한국은행이 30일 발표한 5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자료에 따르면 살아나는 듯했던 국내 제조업체의 체감경기지수가 원화 강세와 중국 경제성장률 둔화의 영향으로 넉 달 만에 뒷걸음질 쳤다.
여기에 최근 세월호 참사 여파가 경기에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치면서 국내의 수요 부진은 더욱 심각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통계청에서 내놓은 ‘4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서비스업 생산(-1.0%), 소매판매(1.7%) 등이 약세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