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계준 서울대 지리학과ㆍ한국선진화 홍보대사
알고 보면 1965년 독립 직후 싱가포르는 계획 성장에 어려움이 많았다. 산업화 초기, 낙후된 기존 건물들과 기반 시설을 재개발하는 데에도 버거웠다.
그렇다면 싱가포르를 지금처럼 화려하고 깨끗한 도시로 만든 원동력은 무엇일까. 바로 주기적 장기 계획이다.
싱가포르 정부는 1974년, 도시를 조금 더 체계적으로 개발하고 관리하기 위해 도시재개발청(Urban Renewal Athorty, URA)을 설립했다. URA는 싱가포르 국가개발청 산하기관이다. 약 1000명에 이르는 도시계획 및 설계 전문가들이 도시계획 및 관리 기능을 통합적으로 운영하면서 중장기 계획을 세워 왔다.
먼저 도시재개발청은 장기적 목표를 세웠다. 매립사업과 도심 활성화 사업을 아우르는 10년 단위의 ‘콘셉트 플랜’를 수립했다. 5년 단위로 710개에 달하는 국토를 55개 구역으로 나누어 토지의 용도 및 도로체계에 대한 전반적 지침 등을 세부적으로 관리하는 ‘마스터플랜’도 동시에 운영했다.
10년 단위의 콘셉트 플랜에서 도시계획에 관한 큰 그림을 제공했다면 5년 단위의 마스터플랜은 토지 소유주를 비롯한 개발업자와 국민들에게 토지의 용도, 건물 용적률, 도로체계 및 교통 등에 관한 세부지침을 규정, 제공하고 있다.
싱가포르와 한국은 영토가 좁고 자원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비슷하다. 반대로 우수한 인적자원이 많고 과거 성장중심의 급속한 성장을 이루었다는 점도 같다.
교통상황의 경우 좁은 영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효과적인 교통망을 구축하고 있다. 그 결과 도시에 위치한 고속도로들의 평균 속도는 시속 63km다. 중심업무지구의 도로는 평균 25km를 유지할 정도로 정체현상을 경험하기 어렵다.
싱가포르 교통정책은 ‘종합교통계획’을 세워 교통인프라 개선과 교통관리를 위한 신기술 도입, 차량의 보유와 관리뿐만 아니라 대중교통을 활성화하기 위한 계획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물론 새 차를 사기 위해 7만 싱가포르달러(약 6000만원)를 지불해야 한다. 차량보유는 주거비용과 더불어 가장 큰 재정적 부담이기도 하다.
싱가포르가 교통체증을 피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국민들의 불만이 있음에도 정부가 강력한 제도를 통해 교통계획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싱가포르와 한국 사이에 절대적 토지 크기의 차이는 있다. 그러나 공공부문 주도의 끊임없는 변화와 혁신을 통해 ‘낭비 없는 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싱가포르의 사례는 우리나라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