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세영의 서울 숨은그림 찾기] 쓸쓸한 침묵이 흐르는… '심우장'

입력 2014-05-12 11:1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북정마을의 한 벽면에 김광섭 시 ‘성북동 비둘기’가 붙어 있다.

김광섭의 시 ‘성북동 비둘기’의 소재이자 도시 소시민들의 삶이 고스란히 녹아 있는 성북동 북정마을 언저리에 만해 한용운이 생전에 유일하게 소유한 집 심우장이 위치하고 있다.

▲울창한 나무 아래 위치한 심우장

만해는 유년시절 한학을 배웠고, 동학운동의 영향을 받았다고는 하지만 구체적으로 전해지는 바는 없다. 19살 무렵 고향을 떠나 오대산 월정사, 설악산 백담사 등을 전전하면서 불교의 기초지식을 공부했고, 시베리아 등지를 여행했다. 귀국 후 1905년 다시 백담사로 들어가 속세와 인연을 끊고 연곡(蓮谷)선사를 은사로 출가해 승려가 되었다.

만해는 시인이자 독립운동가이며 뛰어난 불교사상가다. 1913년 ‘불교유신론’을 발표해 조선 불교계의 혁신을 주장했다. 1911년 친일 승려 이회광 일파가 한국의 원종(圓宗)과 일본 조동종(曹洞宗)과의 합병을 발표하자 그는 이를 정치적 상황에 편승한 친일매불(親日賣佛) 행위로 단정하고 승려궐기대회를 개최했다. 3ㆍ1운동 당시에는 불교를 대표하는 민족대표 33인으로 참여해 주도적으로 독립운동을 이끌었다.

평생을 독립운동에 투신한 만해의 뜻은 심우장에도 잘 담겨져 있다.

▲심우장에 전시된 만해 한용운 시인의 육필, 마저절위(磨杵絶韋) 절구공이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고사로 .. '쉬지말고 계속 정진하라'

▲심우장에 전시된 만해 한용운 시인의 저서 ‘님의 침묵’

심우장은 정면 4칸, 측면 2칸 규모의 장방형 평면에 팔작 지붕을 올린 민도리 소로수장집이다. 만해가 쓰던 방에는 그의 글씨, 연구논문집, 옥중 공판기록 등이 그대로 보존돼 있다. 만해가 죽은 뒤에도 외동딸 한영숙이 살았는데 일본 대사관저가 이곳 건너편에 자리 잡자 명륜동으로 이사를 하고 심우장은 만해의 사상연구소로 사용됐다.

▲동북향을 바라보고 있는 심우장

심우장은 일반 한옥과 달리 동북향 집이다. 이는 남향에 위치한 조선총독부를 마주하고 싶지 않다는 선생의 고집스러운 의지가 담겨 있다. 심우장(尋牛莊)이란 선종(禪宗)의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는 과정을 잃어버린 소를 찾는 것에 비유한 열 가지 수행 단계 중 하나인 ‘자기의 본성인 소를 찾는다’는 심우(尋牛)에서 유래한 것이다. 만해는 이곳에서 수많은 작품을 집필하며 오매불망 조선의 독립을 위해 투신했지만 끝내 조선의 독립을 보지 못한 채 1944년 입적했다.

▲재계발로 다소 어지러운 심우장 진입로

최근 찾기 어려웠던 심우장 입구를 문화재 관리 차원에서 정비했다. 하지만 썰렁한 주변 환경과 심우장으로 오르는 언덕길이 다소 어지러웠다. 현재 심우장이 위치한 성북동 일대는 재개발지역으로 지정돼 주민들의 심경이 매우 복잡해 보였다. 어떻게 개발될지는 누구도 알 수 없어 보였다. 이런 모습을 선생이 지켜봤다면 어땠을까 사뭇 궁금해졌다.

▲만해 한용운의 초상화

▲심우장에서 내려다 본 북정마을과 목련

쓸쓸한 침묵이 흐르는 심우장 앞마당에 서서 아래 마을을 내려다보니 만해의 ‘님의 침묵’의 첫 구절과 마지막 구절이 가슴에 밀려 들어온다.

“님은 갔습니다. 아아, 사랑하는 나의 님은 갔습니다…아아, 님은 갔지마는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하였습니다. 제 곡조를 못 이기는 사랑의 노래는 님의 침묵을 휩싸고 돕니다.”

▲심우장 진입로 초입에 위치한 만해 한용운의 동상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