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이 ‘긴급민생대책회의’ 소집…경기위축 어느 정도길래

입력 2014-05-09 10:3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가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긴급민생대책회의’를 9일 오전 소집한 것에는 월호 참사 이후 소비위축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선제적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판단이 깔려 있다. 실제 정부가 세월호 사고가 발생한 지난달 16일을 전후로 속보지표와 현장경기를 종합한 바에 따르면 소비와 소비 관련 서비스업의 둔화가 감지된다.

우선 눈에 띄는 것은 신용카드 사용규모다. 정부가 파악한 바에 따르면 세월호 사고 직전인 14~15일만 해도 전년동기대비 25%였던 카드 승인액 증가율은 사고직후인 16~20일 6.9%로 뚝 떨어졌고 4월 넷째 주에 들어서는 1.8%까지 내려앉았다. 업종별로는 레저·요식·숙박업 등의 둔화세가 뚜렷했으며 여객운송업의 경우 매우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다.

백화점과 할인점 매출도 4월 셋째 주를 기점으로 증가세가 둔화되거나 감소세로 전환돼 전반적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주말 영화관 관객 수, 놀이공원 입장객 수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감소세가 확대되는 모습을 보였다. 관광업계의 경우 수학여행 금지 등의 조치로 총 5476건(18만8000명 규모)의 관광이 취소돼 276억원 규모의 업계 손실이 생긴 것으로 파악됐다.

사고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안산, 진도 지역에서는 경제적 충격이 보다 직접적이다. 안산상의의 조사결과 대형유통업은 10~30%, 패션의류업은 30~50% 가량 매출이 감소했으며 회식 등 행사가 끊기면서 식당·노래방·택시 등 관계가 있는 업종의 매출은 50%이상 감소했다. 진도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나타나는 가운데 세월호에서 유출된 200톤 이상의 기름으로 어민피해도 발생했다.

지역경기에서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는 각종 지역축제·문화관광형시장이 크게 위축되는 모습이 관찰된다. 정부가 파악한 바로는 인천 강화풍물시장은 관광객 30%, 매출액 30~40% 정도가 줄어든 것으로 파악돼 오는 6월로 예정된 행사의 개최가 불투명해졌다. 전남 여수수산시장의 경우 관광객은 고사하고 지역 손님들도 찾지 않아 활어횟집·건어물 매출이 30% 이상 감소했다.

정부는 세월호 사고로 어렵게 살려 둔 내수회복의 불씨도 꺼지지 않을까 우려한다. 앞서 국책연구기관인 KDI가 8일 발표한 경제동향 5월호에서는 1분기 내수회복세에 대해 올해 들어 처음으로 ‘둔화’라는 표현을 넣었다. 세월호 참사가 일어나기 전에도 소비증가세와 설비투자가 현저히 꺾이는 등 내수가 주춤하는 모습이 나타난 것. 여기에 사고 효과가 더해지면 부정적인 효과가 증폭될 수 있다는 것이다.

금융연구원은 8일 세월호 참사에 따른 소비심리 저하가 2분에만 나타날 경우 올해 경제성장률이 4.1%로 0.1%포인트 떨어지고, 3분기까지 이어질 경우 3.9%로 0.3%포인트나 뒷걸음질할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 관계자는 “세월호 사고 여파가 반영된 지표는 5월말이나 돼야 확실히 나오겠지만 서비스생산과 소매판매 지표가 나빠질 가능성이 있다”며 “구체적인 경기 악영향도 가늠하기는 아직 어렵지만 경제심리가 나빠지면 경기회복세 흐름에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기에 이번 대책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