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들의 채용시 가장 큰 걸림돌은 '입사지원자 부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정보업체 잡코리아는 8일 중소기업 인사담당자 266명을 대상으로 ‘중기 채용 경쟁력 현황’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들 중소기업들이 올 상반기 채용을 진행하는 데 있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한 사항은 입사지원자 자체가 부족하다는 응답이 36.8%로 가장 많았다고 밝혔다.
다음으로 장기적인 채용계획 수립의 어려움을 지적한 의견도 23.7%였다. 이어 최종 입사 합격자의 이탈 15.8% △체계적인 채용시스템의 부재 13.2%, 채용관련 회사 홍보 프로세스 미비 5.6%, 채용활동 후, 성과 평가 및 모니터링 미비가 1.9% 순으로 집계됐다.
또 자사에 필요한 인력을 정해진 기간 내에 신속하게 확보하는 지에 대한 문항에 대해서는 무려 71.1%의 기업이 ‘아니다’라고 응답했다.
최근 최종 입사를 확정한 사람들 중 입사일에 출근을 하지 않아 애를 먹었던 경험에 대해서는 무려 68.4%의 기업이 “있다”고 답했다.
하지만, 정작 채용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채용관련 리크루팅 활동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중소기업에서 시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우수 인재들을 유치하기 위한 캠퍼스리크루팅이나 선배리크루팅 등 전반적인 리크루팅 활동을 하고 있냐는 문항에 대해서는 26.3%의 기업만이 ‘그렇다’라고 답해 10개 기업중 2개 기업정도만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채용된 인력들이 적성과 역량에 맞는 일을 할 수 있도록 회사 차원에서 지원해 주는 활동을 하고 있는가에 대한 문항에서는 37.6%의 기업만이 ‘그렇다’고 답했다.
또, 최종 입사를 확정한 사람들이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합격 이후 최종 입사일까지 지속적으로 연락하고 관리하는가에 대한 문항에서는 ‘입사일까지 지속적으로 연락하며 관심을 갖는다’는 기업은 42.1%에 불과했다.
나머지 57.9%의 기업은 ‘최종합격 통보 후에는 별다른 연락을 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채용활동 후 채용에 대한 성과 평가 및 모니터링에 관해서도 44.7%만이 시행하고 있다고 답했다. 나머지 55.3%의 기업은 시행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