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正論] 다문화사회, 지구촌 시민의식 교육 -김준식 (사)아시안프렌즈 이사장

입력 2014-05-01 10:5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0세기 후반부터 급격하게 진행된 세계화는 개인의 삶의 환경을 국민국가 영역에서 세계로 넓혔다. 아직도 절대 다수의 빈곤국과 세계 도처에 소수민족들은 세계화와 먼 거리에서 살아가지만, 그들 또한 세계화의 영향 하에 살아가고 있다. 즉 세계화란 70억 인류 모두의 삶의 터전이 국가나 민족, 단일 문화권의 영향을 벗어나 다종교 다민족 다문화 시대로 접어들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도 물질도 돈도 정보도 문화도 이제는 국민국가나 단일민족의 국경 안에 묶어둘 수 없을뿐더러 국가는 더 이상 우리가 지켜야 할 절체절명의 가치가 아니다. 오히려 이제는 인류 보편적인 가치인 민주주의, 평화, 자유, 인권, 원조, 지속 가능성, 소수자에 대한 배려 등의 인류 보편적 가치가 중요한 시대이다. 그러므로 우리 인류가 지속가능한 자연환경과 평화로운 문명을 만들어 가기 위해서는 인류 보편적인 가치를 소중하게 생각하는 ‘지구촌 시민의식’이 필요하다.

지구촌 시민의식, 즉 더 가까워진 지구촌의 시민의식이란 지구촌의 자연과 지구촌 인간을 사랑하는 마음이다. 즉 내 나라 땅, 내 나라 사람만이 아니라 바로 이 지구촌 전체를 사랑하고 인류 전체를 사랑하는 마음이 곧 지구촌 시민의식이다.

왜냐하면 지금까지의 인류 문명은 자연을 파괴하는 문명이었을 뿐만 아니라 국가 간, 종교 간, 민족 간, 문명 간 갈등의 역사였고 그런 문화는 이 지구촌에서 더 이상 지속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 차원에서 이 지구촌 인류 중에 가난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에 대한 우리의 배려는 최우선의 지구촌 의제이자 UN이 존재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명분이다.

미국에서는 다문화 교육이 1960년대 1970년대 초 소수자의 인권을 옹호하는 시민운동으로 출발해 학교에 존재하는 인종차별주의를 반대하는 교육의 일환으로 도입됐다. 그리고 70년대 이후에는 인종과 민족뿐만 아니라 성별, 나이, 종교, 사회계층, 성적 소수자, 장애 등 다양한 사회적 소수자를 위한 학교개혁 운동으로 확장됐다.

북유럽 국가들도 최근 국민교육의 중심을 상이한 민족들 간에 다양한 다문화적 상호교류를 촉진하며 이민자들의 정체성과 시민의식을 강화해 주는 세계시민의식 교육에 두고 있다.

그러나 우리 한국에서는 아직 다문화 교육을 다문화 가족과 그 자녀들을 위한 교육으로 생각하고 있거나, 다른 문화를 단순히 소개하고 보여주는 것으로 오해하고 있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2012년 ‘국민의 다문화 수용성 현황’이란 연구에 의하면 한국인들의 문화 공존 인식은 36.2%로 유럽 8개국 평균 74%의 절반밖에 안 될 정도로 폐쇄성을 보이고 있다.

다행히 한국정부는 2012년 8월 17일 ‘다문화 인식개선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 의하면 2013년부터 유치원, 초, 중등 교과서에 다문화 교육 내용을 반영하여 학습하도록 했으며 공무원, 경찰, 군인, 다문화 관련 시설 종사자와 지역의 문화시설, 복지시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다문화 교육을 확대하기로 했다. 참으로 좋은 정책이다.

그러나 아쉬운 것은 이러한 국가정책이 지자체나 일선 교육기관에 이르면 그 본질이 변색돼 단순히 다문화 가족 복지정책을 설명한다거나 아니면 결혼이민자들 나라의 의복문화나 음식문화를 소개하는 것으로 그치고 만다. 안타까운 일이다.

다문화 교육의 세계적인 권위자인 워싱턴 대학의 제임스 벵크스 교수는 다문화 교육은 ‘세계 시민성 교육으로서 학생들이 자신의 문화 공동체와 국가, 지역, 나아가 세계 공동체의 시민으로 살아갈 수 있는 지식과 기술 가치를 가르치는 것이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결국 다문화 교육은 우리 한국 국민과 젊은이들에게 인류 보편적인 가치를 가르치는 지구촌 시민의식 교육이다. 한국의 공직자들과 교육자들은 이 점을 다시 한 번 되새겨 보아야 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