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아줌마 미국 정치 입문…‘도전’의 결과죠”

입력 2014-04-30 09:4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워싱턴주 신디 류, 재미동포 첫 여성 주 하원의원

재미동포 첫 여성 주 하원의원(워싱턴주) 신디 류(57·사진)씨가 재외동포재단 초청으로 한국을 찾았다.

류 의원은 재외동포재단이 주최하는 ‘2014 찾아가는 재외동포 이해교육’ 프로그램의 강사로 초청됐다. 선거 준비로 빠듯하지만 1주일의 시간을 내 한국으로 달려왔다.

지난 28일에는 경희대와 신일고에서 강연했고 30일에는 인하대를 찾아 ‘한국의 뿌리에서 열린 재미 한인 디아스포라의 열매’라는 주제로 한국 대학생들을 만난다.

그는 강연에서 ‘포기하지 않는 도전의 삶’을 전할 예정이다. 또 국내 청년들에게 사회적 약자이거나 소수라는 사실을 핸디캡(약점)으로만 받아들여서는 아무런 발전이 없다는 점도 강조할 생각이다.

“학생들이 가장 많이 한 질문은 미국에서 한국 아줌마가 어떻게 정치인이 될 수 있었느냐는 것이었어요. 그때마다 전 이렇게 답했죠. 안 될 게 뭐 있어(Why not)?”

실제 류 의원은 초등학교 4학년 때 미국으로 건너가 ‘맨땅에 헤딩’하며 아메리칸 드림을 일군 한인 1.5세이다. 또 워싱턴대 미생물학과와 같은 대학 MBA를 수료한 실력파다.

남편과 함께 보험업에 종사하며 탄탄대로의 삶을 살 수도 있었지만 47세 늦깎이로 정치에 뛰어들어 낙선하는 등 패배의 쓴잔을 마셨다.

그러나 이에 굴하지 않고 도전해 2008년 초 미국 워싱턴주 쇼어라인시의 시장에 당선됐고, 2010년에는 주 하원의원에 출마해 당선된 뒤 재선에도 성공했다.

“워싱턴주 98명의 하원의원 가운데 소수민족 출신은 8명뿐입니다. 의회가 출신 성분으로 나눠 정치했다면 할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었겠죠. 저는 오히려 소수민족인 것은 뒤로 감추고 보편적 가치인 평등인권민주주의를 앞세워왔기에 동료 의원과 유권자의 지지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새로운 일에 도전하는 데는 나이가 숫자에 불과하다는 점도 강조사항 중의 하나다. 자신이 보험업에 종사하며 세 아이를 키우던 평범한 주부에서 시의원과 시장을 거쳐 주 하원의원 3선에 도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오는 9월부터 한인 2세 차세대를 대상으로 정치 리더십 멘토링을 자처한 이유도 용기를 주고 기회를 만들어주기 위해서다.

“정치에 입문하려는 한인 차세대 20명을 선발해 선거와 리더십을 가르치려고 합니다. 20~30대가 기준이지만 여성은 저처럼 늦깎이 입문도 가능하니까 나이 제한 없이 받으려고요. 정치를 하는 동안 제2, 제3의 신디 류가 나오도록 돕는 것이 제가 해야 할 일입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