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0.4%(전국 평균)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도 4.1% 하락에서 소폭 상승 반전한 것이다. 아울러 전국 개별단독주택 공시가격은 전년대비 3.73%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재산세 등 각종 부동산 관련 세금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전국 공동주택 1126만호의 올해 가격을 오는 30일 공시한다고 29일 밝혔다. 같은날 전국 251개 시군구에서도 개별단독주택 398만호의 가격을 각각 공시한다.
이에 따르면 올해 공동주택 공시가격은 전국 평균 전년대비 0.4% 상승했다. 전년도 4.1% 하락에서 소폭 상승 반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해 4.1 대책 등을 추진해 수도권 주택가격의 하락세가 진정되, 주택거래량도 증가하는 한편 세종시 혁신도시 등 일부지역의 개발사업 추진으로 주택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올해는 수도권과 비수도권, 고가와 저가, 대형과 소형 간의 시장분화 현상이 뚜렷이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0.7% 하락한 반면 시군지역 2.6% 상승 등으로 엇갈린 모습을 보였다. 가격수준별로도 5000만 원 이하 주택 2.8% 상승, 6억 원 초과 주택 0.8% 하락하는 등 대조적인 수치를 나타냈다. 주택규모별로도 50㎡ 이하 주택 1.5% 상승, 135㎡ 초과 주택 2.5% 하락하는 등 각각 가격 변동이 차별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수도권 지역은 정부정책 등으로 전년 대비 하락세가 진정된 반면, 광역시와 시군 지역은 개발호재지역을 중심으로 주택가격이 다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도별 변동률은 대구(10.0%), 경북(9.1%), 세종(5.9%), 충남(5.1%), 광주(4.7%) 등 10개 시도가 오른 반면, 서울(-0.9%), 경기(-0.6%), 부산(-0.5%), 전남(-0.4%), 전북(-0.2%) 등 7개 시도는 가격이 내렸다.
가격공시대상 공동주택 호수의 53%, 공시가격 총액의 67%를 점하는 수도권의 경우, 서울(-0.9%), 경기(-0.6%), 인천(-0.2%) 지역이 가격변동률 하위 1위, 2위, 7위를 차지했다.
이는 기존도시지역내 용산국제업무지구 등의 재건축?재개발사업 추진 부진을 비롯해 수도권 신도시지역인 동탄 파주운정 송도 등의 계속된 주택공급이 하락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대구(10.0%), 경북(9.1%), 세종(5.9%) 등은 중앙행정기관 및 공공기관 이전, 혁신도시 개발사업 등 시행에 따른 주거수요 증가로 가격이 상승한 것으로 분석된다. 시군구별 변동은 전국 251개 중 상승지역 161개, 하락지역 85개, 5개 지역은 변동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시군구 중 대구 달성구가 최고 상승률(14.7%)을 기록했고, 대구 북구(13.8%), 경북 구미시(13.0%), 대구 달서구(12.0%), 경북 칠곡군(11.8%) 등의 순으로 대구, 경북지역의 상승이 두드러졌다. 반면 하부산 강서구(8.1%)의 하락폭이 가장 컸다. 이어 경기 고양 일산서구(7.6%), 서울 용산구(6.3%), 경기 파주시(5.5%), 서울 영등포구(4.3%) 등의 순이었다.
또 행정중심복합도시, 혁신도시의 가격변동은 행정중심복합도시(세종시)가 5.9% 올랐다. 혁신도시는 평균 0.7% 상승해 전국 평균(0.4%)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도시 중 대구 동구 11.5%, 전남 나주 6.3%, 전북 완주 4.8%, 충북 진천 3.5%, 충북 음성 2.7% 등의 순으로 9개 도시가 상승한 반면, 부산 남 -2.3%, 부산 해운대 -1.3%, 전북 전주 -0.7%, 부산 영도 -0.7%, 경남 진주 -0.3% 등 5개 도시가 내렸다.
가격수준별 변동률은 2억 원 이하 주택은 1.4~3.1% 상승했다. 이에 반해 2억 원 초과 주택은 0.4~1.8% 하락하는 등 고가주택의 하락률이 컸다. 이는 세금 및 관리비 등 유지비 증가에 따른 대형주택의 선호도 감소하고 있는 데다 처분이 상대적으로 쉬운 소형주택으로의 수요 이동 등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아울러 저가 주택은 가격변동이 비교적 안정적인 반면, 고가 주택은 경기변동에 따라 가격의 변동이 민감한 점도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공시대상 공동주택 1125만7033호 중 3억 원 이하는 1018만3615호(90.5%), 3억 원 초과 6억 원 이하는 89만4606호(7.9%), 6억원 초과 9억 원 이하는 13만1033호(1.2%), 9억 원 초과는 4만7779호(0.4%)로 나타났다.
6억 원 이하 공동주택은 1107만8221호로 전체의 98.4%이며, 이는 고가ㆍ중대형주택의 가격하락 영향으로 전년대비 증가한 것이다.
공시가격은 △조세 부과, △건강보험료 산정, △기초노령연금 수급대상자 결정, △교통사고 유자녀 등 지원 대상자 결정 등 복지행정, 재건축부담금 산정, 이행강제금 산정 등 부동산행정, △공직자 재산등록 등 60여 종의 행정 분야에 광범위하게 활용된다.
공동주택 공시가격은 국토부 홈페이지(www.molit.go.kr) 또는 주택이 소재한 시군구청 민원실에서 4월 30일부터 5월 30일까지 열람할 수 있다. 이의가 있는 소유자나 법률상 이해관계인은 5월 30일까지 국토부, 시?군?구청(민원실) 또는 한국감정원(본점 및 각 지점)에 우편ㆍ팩스나 직접 방문해 이의신청서를 제출할 수 있다. 5월 30일까지 접수된 이의신청 건에 대해서는 재조사를 실시하고 처리결과를 이의신청자에게 회신할 예정이다.
한편 이날 전국 251개 시군구에서도 지난 1월 1일을 기준으로 산정한 약 398만호의 개별단독주택가격을 일제히 공시한다.
국토부에 따르면 개별단독주택 공시가격 변동률은 전국 평균 전년대비 3.73%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반적인 주택매입 수요증가로 인한 주택가격 상승세와 세종특별자치시 등 일부지역에서 개발사업 진척으로 인한 주변지역 주택가격 상승 및 기타 공시가격 불균형성 해소 등읭 영향으로 분석된다.
개별단독주택 공시가격은 부동산공시가격알리미(www.kais.kr/realtyprice)와 해당주택 소재지 시군구 민원실이나 홈페이지를 통해 4월 30일부터 5월 30일까지 열람할 수 있다.
공시된 가격에 이의가 있는 소유자나 법률상 이해관계인은 5월 30일까지 해당 시군구에 비치된 이의신청서를 작성해 시군구에 직접 제출하거나 팩스?우편 등으로 제출할 수 있다. 문의사항이 있는 경우 해당 시군구에 연락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