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총리 사의, 전면 개각으로 번지나…교체폭·시기는?

입력 2014-04-27 18:2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박근혜 대통령이 27일 세월호 참사에 대한 책임을 지고 전격 사퇴의사를 밝힌 정홍원 국무총리의 사의를 수용키로 한 가운데, 향후 '내각 총사퇴' 여부를 포함한 전면 개각 가능성에 이목이 집중된다.

청와대는 정 총리의 사의표명에 이어 이날 오후 사표수리 방침은 확정했으나 다만 그 시기는 일단 사고 수습 뒤로 미뤘다.

총리 사의와 함께 내각전반의 개편작업이 어느정도 이뤄질지 관심이 모아진다. 이번 사고 과정에서 물의를 일으켰던 장관들을 포함한 대폭 개각이 뒤따를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청와대는 이날 오전 정 총리의 사의 표명 직후 "임면권자인 대통령이 숙고해 판단할 것으로 알고 있다"고 입장을 내놓은 뒤 오후에 다시 사고 수습 뒤 박 대통령이 사표를 수리할 방침을 전했다.

이는 이번 사고를 둘러싼 정부의 미흡한 대처능력 등의문제점들이 드러나면서 악화되고 있는 여론을 의식한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이번 사고 전반의 책임을 지고 있는 총리가 사퇴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해당부처 장관들의 문책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안전행정부와 해양수산부, 교육부, 해양경찰청 등의 각료 교체 가능성이 매우 높은 분위기다.

특히 그동안 교체대상으로 꾸준히 거론돼왔던 현오석 경제부총리 등 경제부처 장관 등으로까지 개각범위가 확대될 개연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이다.

일각에서는 사실상 전면개각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큰 상황이라는 입장을 내비치고 있다.

여당에서도 개각론이 제기된 가운데 여야를 막론하고 내각 총사퇴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상태다.

이런 분위기를 감안하면 박 대통령이 내각 총사퇴를 통해 전면적인 공직사회의 혁신을 단행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일단 정 총리의 사표 수리부터 사고가 어느 정도 수습단계에 접어드는 시점으로 정해진 만큼 개각 시기는 비슷한 시점에 맞춰질 가능성이 크다. 사고 여파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은 크지만 시신수습 등이 웬만큼 이뤄진 뒤에 문책인사가 뒤따라야 그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인사청문회 등이 부담이 될 수 있는 만큼 선거 이후로 시점을 선택하지 않겠느냐는 전망도 흘러 나오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