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 말라리아 환자가 400명 넘게 발생한 가운데 질병당국이 예방수칙을 발표했다. 또 말라리아가 연중 발생해 풍토병화 돼있는 지역(아프리카 및 동남아시아 일부 국가)의 해외 여행객을 대상으로 말라리아 감염 주의를 당부했다.
질병관리본부가 '세계 말라리아의 날(25일)'을 맞아 24일 공개한 말라리아 환자 발생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모두 445명이 말라리아에 걸렸다. 국내에서 감염된 사례가 민간인 227명, 군인 158명 등 385명이었고 나머지 60명은 해외에서 걸려 귀국한 경우다.
말라리아 환자는 지난 2000년 약 4000명 수준까지 크게 늘었다가 이후 점차 줄어드는 추세다. 그럼에도 완전히 '퇴치' 단계에 접어들지 못하고 있다.
말라리아는 열원충(Plasmodium) 속 원충에 감염돼 발생하는 급성 열성 감염병으로 말라리아 원충에 감염된 모기에 물려서 감염이 되며, 일반적으로 사람간 직접 간염은 되지 않는다. 주된 증상으로는 오한, 발열, 두통, 근육통, 발한 후 해열 등이 있으며 두통이나 구역, 설사 등을 동반한다.
해외유입의 경우 대부분 동남아시아(인도,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등)에서 감염됐지만, 해외 생활권이 확대됨에 따라 아프리카(케냐, 가나, 기니 등)에서 감염되는 경우도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12년 민간인 말라리아 환자 중 가장 많은 발생을 보인 지역은 경기(보고수 247명), 인천(보고수 138명), 서울(보고수 59명) 순이었다. 인구 10만명 당 발생률로 보면 인천이 4.4로 가장 높았고, 경기(1.3), 서울(0.4)이 뒤를 이었다.
질병관리본부는 말라리아를 예방하기 위해 예방약 복용과 모기기피를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
국내 유행 시기는 보통 5월부터 8월까지지만 매개 모기가 활발하게 흡혈 활동을 하는 4월부터 10월까지 야간(밤 10시부터 새벽4시)에는 야외(낚시터, 야외캠핑 등) 활동을 가능한 자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야간 외출 시에는 긴팔 및 긴 바지를 착용해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하고 옥내의 모기 침입 예방을 위해 방충망의 정비 및 모기장 사용을 권고하고, 실내 살충제를 적절히 사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위험지역 여행 후 발열 등의 증상이 발생하면 즉시 가까운 보건소나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를 받을 것이 권고된다.
특히 아프리나·동남아시아 등 해외 말라리아 위험지역 여행객은 예방약을 복용하고, 여행 후 발열 등 증상이 나타나면 곧바로 보건소나 의료기관을 찾아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