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벌그룹 계열사 상장비율 15% 불과

입력 2014-04-24 07:3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부영 ‘제로’... 미래에셋·삼천리·교보생명보험은 7% 안팎

재벌그룹 계열사 7곳 가운데 1곳 정도만 상장사인 것으로 분석됐다.

2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말 현재 총수가 있는 40개 대기업집단의 계열사 1418개 중 상장사는 15.4%인 218개에 불과했다. 나머지 1200개는 비상장사다.

전체 계열사에서 차지하는 상장사 비율이 가장 큰 곳은 한솔그룹이다. 한솔그룹은 계열사 21곳 중 52.4%인 11곳이 상장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한진중공업(33.3%), OCI(28.0%), 두산(27.3%), 영풍(27.3%), 신세계(25.9%), 동국제강(25.0%), 삼성(22.7%), KCC(22.2%), 아모레퍼시픽(20.0%)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반면 부영은 계열사 14곳 모두 비상장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미래에셋(6.9%), 삼천리(7.1%), 교보생명보험(7.7%), 대성(7.8%), 이랜드(8.3%), 태광(8.8%), 태영(9.1%), 한라(9.1%) 등도 상장 비율이 낮았다.

그렇다면 재벌그룹이 비상장 계열사를 선호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유는 간단하다.

재벌그룹 상장사의 경우 사업보고서 공시 등을 통해 투자자에게 회사 내부 사정을 자세히 설명해야 하지만 비상자사는 그럴 의무가 없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재벌그룹들이 비상장 회사들을 무분별하게 계열사로 편입해 문어발식 확장에 나설 뿐만 아니라 내부거래를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 상장사보다는 주주 감시가 소홀할 수밖에 없는 비상장 계열사를 통해 총수 일가에게 고액 배당을 하고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일례로 부영그룹 비상장사인 광영토건은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과 장남 이성훈 전무에게 이 회사 순이익의 13배인 100억원을 배당한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