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치매 요양 종합대책 발표…2020년까지 치매요양시설 480여 곳 늘려

입력 2014-04-23 10:2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서울 시내 치매요양시설이 2020년까지 480여 곳 늘어난다. 치매집중 검진대상자를 75세에서 70세, 75세 2단계로 확대한다.

서울시는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치매 요양 종합대책’을 23일 발표했다.

시는 우선 장기요양시설과 재가요양기관인 데이케어센터를 480여 곳 확대해 치매환자 판정을 받은 등급자의 장기요양시설 충족률(수요 대비 시설 정원)을 현재 62.3%에서 2020년까지 80%로 높인다. 치매 집중검진 대상은 2단계로 확대돼 70세와 75세에 검진을 받도록 할 계획이다. 60세 이상을 대상으로 하는 조기검진도 지속적으로 실시한다. 서울시는 이를 통해 치매 조기검진율을 현재 37.2%에서 2020년까지 80%로 높일 것이라고 밝혔다.

‘등외자 치매전용 데이케어센터’를 올해 신규 설치해 치매 사각지역을 줄인다. 집에 방치되어 있는 등외자 저소득 어르신을 대상으로 맞춤서비스를 지원하는 ‘재가노인지원센터’도 50개소로 확충한다.

장기요양시설과 재가요양기관의 서비스 수준을 높이기 위해 ‘서울형 인증제’도 도입된다. 최초 인증을 받은 시설에 1000만∼2000만원의 환경개선비와 대체요양보호사 인건비 등 인센티브가 지원된다.

요양보호사가 마음 편하게 휴가를 쓸 수 있도록 1명당 대체인력을 연간 사흘 지원하고, 직무교육과 고충상담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시는 또 이달 중 시니어 전문포털 '50+서울'에 요양시설 입소 대기자 현황 정보를 공개하며 민간 요양시설, 자치구별 치매지원센터와 협업해 치매환자 관리 데이터베이스도 구축, 현재 36.5%인 치매등록률을 2020년까지 60%로 높일 계획이다.

강종필 서울시 복지건강실장은 “7월 치매 특별등급제 시행으로 치매 요양 수요가 2000∼4400명가량 늘 것으로 보인다”며 “치매 고위험군이나 경증환자는 주로 가정에서 돌봐 부담이 크기 때문에 시설과 서비스 확충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