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 정부, 불간섭 비규제로 최적의 비즈니스 환경 지원
지난달 24일 스위스 취리히에서 만난 한상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 취리히무역관장은 ‘왜 스위스 산업이 강한가’라는 질문에 이 같은 답변을 내놨다.
한 관장은 스위스가 겉은 물론 뼛속까지 견고한 강소국으로 부상할 수 있었던 원동력을 기업과 정부의 ‘혁신경영’에서 찾았다. 기업은 과감한 연구개발(R&D) 투자로 세계 1등의 고부가가치 상품을 만들어 내고 정부는 뒤에서 자유로운 기업 활동을 보장하는 방식으로 기업의 글로벌 경영을 물밑 지원했다.
스위스의 혁신 성적표는 화려하다. 글로벌 혁신지수 1위 세계경제포럼(WEF) 주관 국가경쟁력 순위와 프랑스의 세계적 경영대학원인 인시아드(INSEAD)의 ‘글로벌 혁신 지수(Global Innovation Index)’에서 수년째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혁신의 근간은 R&D 경쟁력에서 나온다. 스위스는 전체 국내총생산(GDP)의 3%를 연구개발에 투자하고 있다. 유럽연합(EU) 평균의 1.7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스위스의 대표적 제약기업인 노바티스와 로슈는 세계 2위, 3위의 R&D 투자기업으로 꼽힌다. 한 관장은 “로지텍, 시스코, 로슈 등 글로벌 기업과 스위스의 연방공과대학인 취리히·로잔공대 간의 활발한 산학협력으로 기술 거래는 이미 상품거래 못지않은 부가가치를 생산해내고 있다”고 소개했다.
스위스 정부는 높은 기술력을 기반으로 중소기업들이 세계로 뻗어나갈 수 있는 환경을 제대로 만들어 준다. 불간섭과 비규제가 글로벌 경영을 위한 정부의 지원책이라고 한 관장은 설명했다. 정부가 상향식으로 중소기업 육성정책을 펴는 우리나라의 상황을 떠올려 보니 매우 의아했다. 그는 “자금 융자나 수출보험 등 지원정책도 있지만 행정절차를 간소화하는 등 규제를 없애고 기술혁신을 장려하는 분위기를 조성해 글로벌 기업과 동등한 조건에서 경쟁할 수 있도록 돕는 게 스위스 정부의 역할”이라고 말했다.
6년째 흑자예산 기조가 유지되고 있고 공공부채가 거의 없어 국가경제가 안정돼 있다는 점, 실업률 3%의 완전고용시장의 요건을 갖추고 있는 데다 시간제 일자리 정착 등으로 노동시장의 효율성이 높다는 점도 스위스를 글로벌 기업의 강국으로 만든 비결이다.
한 관장은 현재 스위스 기업이 유럽과 북미 중심에서 아시아 진출을 확대하고 있는 시점인 만큼 우리나라와 스위스 간의 공동 R&D 또는 기술협력을 통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적기라고 보고 있다. 그가 국내 중소기업이 스위스 강소기업을 벤처마킹할 수 있도록 ‘히든 챔피언 연수단’을 운용하고 국내 부품의 스위스 수출 판로를 열어주는 글로벌파트너링(GP) 사업을 통해 더 많은 중소기업들이 스위스 현지에 진출할 수 있도록 돕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그는 “우리나라가 업종 간 벽을 허물고, 제품의 부가가치를 높여 창조경제를 구현하기 위해선 원천기술을 보유한 스위스 연구소와 대학 등과의 상용화 기술개발 및 협력이 보다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