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분만의료취약지 ‘산부인과’ 설치 확대

입력 2014-04-14 14:2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보건복지부가 산부인과가 없거나 분만가능한 병원에서 거리가 먼 분만의료취약지 시·군을 대상을 지원한다.

복지부는 올해 분만의료취약지 지원사업의 지원지역과 대상 의료기관을 선정하고 시설 및 장비, 운영비 지원에 나선다고 14일 밝혔다.

이번에 선정된 지역과 의료기관은 분만 산부인과 분야는 제주 서귀포시의 서귀포의료원이고 외래 산부인과 분야는 △전남 완도군 완도대성병원 △전남 진도군 한국병원 △전북 진안군의 진안의료원 △강원 양구군의 인애병원 △강원 횡성군의 삼성병원 △충북 보은군의 보은군손산부인과 등이다.

분만 산부인과로 선정되면 24시간 분만체계를 갖춘 지역거점산부인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12억5000만원(국비 50%, 지방비 50%)을 지원받고, 외래 산부인과로 선정될 경우 산전 진찰, 지역 임산부·영유아 보건사업, 분만 의료기관과의 연계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2억원(국비 50%, 지방비 50%)을 도움받는다.

복지부는 지난 2011년부터 분만할 수 있는 산부인과가 없는 분만의료취약지역에 산부인과가 설치 및 지원사업을 벌이고 있다.

현재 분만 가능 산부인과가 없는 곳은 전국적으로 총 46개 지역(시·군)이며, 이 중에서 91%(41개)가 군(郡) 지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분만의료취약지는 지역 관내 분만율이 30% 미만이고, 분만 가능한 병원으로부터 1시간 이상 걸리는 인구비율이 30% 이상인 지역을 뜻한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외래 산부인과와 금년에 신규 편성된 순회진료 산부인과 유형은 응모지역이 부족해 사업모델 재검토 등을 거쳐 재공모할 계획”이라며 “동 사업을 통해 해당 지역의 관내분만율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어 앞으로도 분만의료취약지역 해소를 위해 사업을 연차적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