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소매업 적합업종 지정추진 확대’를 위한 토론회 개최

입력 2014-04-11 10:1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새누리당 이진복 의원과 새정치민주연합 우원식 의원실은 11일 오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도·소매업 적합업종 지정추진 확대…소상공인 옥죄는 대기업 확장, 어떻게 막나?’를 주제로 토론회를 열었다.

의원실은 최근 대기업이 문구·계란유통 등 영세한 도·소매업종에 진출하자 이들 업종을 도소매업 적합업종으로 지정해달라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너 이번 토론회를 준비했다고 밝혔다.

발제자로 나선 원종문 남서울대 교수는 ‘도매업 적합업종 선정과 발전방안’ 주제발표에서 국내 도·소매시장의 현황 분석을 기초로 중소도매업체 기능활성화 방안과 정책적 지원방안을 제시했다. 원 교수는 대·중소 유통업체간 상생협력을 위한 ‘도매업 적합업종’ 지정 필요성을 역설하며 정책지원 필요성을 주장했다.

이후 이정희 중앙대 교수의 사회로 진행된 토론에서는 도매업 적합업종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쏟아졌다.

도매업 적합업종 지정 당사자로 참석한 인태연 전국유통상인연합회장과 유재근 한국산업용재협회장은 무분별한 대기업의 영업확장으로 인해 중소도매업자들의 생존이 위태로운 지경에 이르렀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현재 동반성장위원회에 신청돼 있는 문구도·소매, 식자재유통, 베어링 등에 대한 조속한 적합업종 지정을 촉구했다.

박해철 중소기업중앙회 정책개발1본부장은 거대 자본력을 앞세운 대기업의 도매업 진출은 유통시장을 독과점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나타냈다. 이어 대·중소기업 상생을 통한 건전한 유통생태계 조성을 위한 도매업의 적합업종 필요성을 주장했다.

반면 유환익 전국경제인연합회 산업본부장은 국내 유통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규모의 경제를 통한 가격경쟁력 확보 및 R&D 등을 통한 유통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유통산업 선진화를 위해 도·소매업에 대한 적합업종 지정 확대를 자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학계를 대표한 김익성 동덕여대 교수는 영세업체 비중이 높은 도매업의 특성을 감안, 차별화와 특화 경쟁유도를 통해 중소도매업자의 자립적 경쟁체질을 마련할 수 있는 방안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적합업종 지정이라는 한시적인 보호기간 내 중소도매업자의 체질도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토론회는 이진복·우원식 의원이 공동 주최하고, 중소기업중앙회와 중소상인 도·소매적합업종 추진협의회가 공동 주관했다.

앞서 적합업종 지정 업무를 맡고 있는 동반성장위원회는 지난달 문구도·소매, 계란유통, 베어링 등 자체 실태조사를 마친 도매업에 대해 적합업종 지정을 검토하고 있다고 발표한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