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에선 '자정결의' 화합, 뒤에선 '불법모집' 신고… 두 얼굴의 이통사

입력 2014-04-11 10:0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내 이동통신 3사가 겉과 속이 다른 표리부동(表裏不同)한 행보로 소비자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이통3사는 앞에선 불법 마케팅 근절을 위한 잇단 자정결의로 화합을 앞세우는 반면, 뒤에서는 불법 마케팅 신고를 진행하는 등 서로 물어뜯기에 여념이 없는 모습이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통3사와 CJ헬로비전, SK텔링크, 에넥스텔레콤 등 알뜰폰 사업자, 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KMVNO),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는 10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이동전화 판매 허위과장 광고 공동대응 협약’을 체결했다.

이통3사와 알뜰폰 사업자들은 이날 방송통신위원회와 함께 마련한 ‘이동전화 판매 허위과장 광고 방지 자율준수 가이드라인’을 이행하겠다고 약속하는 자정결의 행사도 진행했다. 현재 온ㆍ오프라인 이동전화 유통영업점에서 ‘최신폰 공짜’, ‘최신폰 80만원’ 등 실제 내용을 과장하거나 허위로 남발하는 광고를 근절하자는 취지에서다.

이통3사는 앞서 지난달 31일엔 보조금 위반행위를 자율 제재하자는 ‘공동 시장감시단’을 구축, 불법ㆍ편법 보조금으로 인해 혼탁해진 이통시장 안정화를 공언하기도 했다. 최근 2주일새 두 번이나 불법 마케팅을 자제하자는 화합의 악수를 나눈 셈이다.

하지만 뒤에서는 전혀 다른 양상의 상황이 펼쳐지고 있다. 허위과장 광고를 근절하자는 자정결의 행사를 진행한 당일, SK텔레콤과 KT는 LG유플러스가 불법 영업행위를 했다며 미래창조과학부에 관련 자료를 첨부해 신고했다. LG유플러스가 영업정지기간인 지난달 말부터 최신 휴대전화에 기준 이상의 보조금을 주고 사전 예약자를 모집했다는 주장이다.

LG유플러스측은 이에 대해 경쟁사들이 증거를 조작했다며 해당 의혹을 전면 부인하고 있다. 주무부처인 미래부는 LG유플러스의 불법 영업행위가 사실로 밝혀질 경우 형사 고발한다는 방침이어서 자칫 이통3사간 진흙탕 싸움이 벌어질 가능성도 감지되고 있다.

이통업계 관계자는 “만일 LG유플러스가 제재를 받게 되면 불법 마케팅에서 자유롭지 않은 다른 경쟁사들의 치부도 공개되는 등 이통업계에 또 진흙탕 싸움이 일어날 수 있다”면서 “매번 자정결의 후 불법 영업, 상호 비방전을 이어가는 이통업계의 틀에 박힌 행보에 시장이 혼탁해지는 것은 물론 소비자들의 피해도 우려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