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적악화·기업 인력 구조조정 돌입
‘감원 바람’은 전자 ·자동차 등 업종 구분이 없다. 이유도 다양하지만 가장 큰 원인은 실적 악화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10일 재계에 따르면 국내 경제를 지탱하는 대표적인 산업들도 글로벌 경기 침체 장기화 여파로 인력 감축을 진행 중이다. 유형별로는 무급휴직, 권고사직, 희망퇴직, 명예퇴직 등 다양하지만 기업들은 하나같이 인위적인 감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실적이 악화되면 기업은 가장 먼저 인력 구조조정에 돌입한다. 이는 최악의 경영실적으로 위기를 맞은 KT의 사례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KT는 2003년, 2009년에 이어 세 번째로 명예퇴직제도를 이용해 감원한다. 규모는 6000명 수준으로 관측된다.
한국 경제의 저상장 기조를 반영하듯 기업들의 인력 구조조정 분위기는 지난해 말부터 거세졌다. 팬택의 경우 작년 10월 경영 정상화의 일환으로 무급휴직을 권고한 700명의 직원 중 200명만 복귀해 결과적으로 500명을 감원했다.
특히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항공해운 업종 기업들의 감원이 두드러졌다. 대한항공은 지난해 6월과 12월 희망퇴직 형태로 60명을 내보냈고, 현대상선, 한진해운, STX조선해양은 비슷한 시기에 모두 260여명을 감축했다.
최근엔 자동차 업계의 인력 구조조정이 활발해지고 있다. 한국지엠, 르노삼성은 희망퇴직 형태로 각각 180명, 20명을 감축했다. 특히 이들 기업은 희망퇴직을 추진하면서 노조와 상당한 마찰을 빚었다. 양사 노조는 희망퇴직 신청자가 예상보다 적다는 이유로 사측이 압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실적 악화로 긴축경영에 들어갈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고정비용을 줄이기 위해 기업들이 가장 먼저 선택하는 것이 감원”이라며 “인건비 감소가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그는 “마구잡이식 인력구조조정은 사회적인 문제가 될 수 있다”며 “특히 대부분의 기업들이 명예퇴직 대상을 근속 15년 이상으로 하고 있는 만큼 이직이 쉽지 않은 중장년층의 실업자를 양산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