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의 가장 큰 원인 ‘정신질환’ 연구투자비, 고작 300억

입력 2014-04-07 07:1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자살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는 정신질환에 대한 국가차원의 연구개발 투자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정신질환 분야 R&D 동향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정신질환 문제로 인한 질병부담은 암의 1.8배에 달하지만 국가 연구비 투자는 2012년 기준 약 300억원으로 암 연구비 지원의 9분의 1에 불과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보건기구(WHO)의 '질병 부담(Burden of Disease)' 집계에서 우리나라는 치매를 제외한 정신질환이 전체 질병 부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1.2%에 달했다. 암은 12.9%, 심장질환은 9.9%였다.

또 WHO가 발표한 '세계 5대 비전염성 질환의 경제적 부담' 자료에서 정신질환은 2011∼2030년까지의 경제적 부담이 16조30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돼 심장질환(15조6000억 달러), 암(8조3000억 달러) 등을 누르고 가장 많았다.

실제 우리나라의 정신질환 관련 진료비 총액이 2011년 기준 2조480억원으로 2002년에 비해 3.8배 늘었고, 사회적 비용은 약 4조원으로 국내총생산(GDP)의 0.5%에 이른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이는 타질병 대비 유병기간이 긴 경우가 많아 의료비 등 직접비용 외에도 간접 비용부담이 매우 크기 때문이다.

보건복지부의 자살실태조사에서 자살시도자의 37.9%가 자살 시도의 이유로 '우울감 등 정신과적 증상'을 꼽는 등 정신질환은 우리나라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내 자살률 1위를 기록하는 가장 큰 요인이 되기도 한다.

이처럼 정신질환의 심각성이 커지고 있음에도 정신질환에 대한 국가 차원의 연구개발 투자는 미미했다. 정신질환 분야 R&D 투자는 2008년 191억원에서 2012년 300억원 수준으로 매년 11.9% 가량 증가했다. 하지만 전체 보건의료 R&D 투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7%에 불과했다. 2008년 3.4%에서 오히려 줄어들었다. 반면 암에 대한 연구비 투자는 해마다 20%씩 늘어 정신질환 투자의 9배(2011년 기준 2733억원)에 달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