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2000년대 초 '일본 위안부 조직적 프로그램' 결론…"성병 확산 막고자 위안소 운영"

입력 2014-03-26 08:5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위안부 조직적 프로그램

▲사진 = 연합뉴스

일본의 전쟁범죄 기록을 조사해온 미국 연방정부 합동조사단이 이미 2000년대 초 군대 위안부가 일본의 조직적 성 노예 프로그램이라고 결론을 낸 것으로 밝혀졌다.

24일(현지시간) 워싱턴 외교소식통들에 따르면 독일 나치 전범 및 일본전범기록 관계부처 합동조사단(IWG)은 지난 2007년 4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최종보고서를 만들어 미국 의회에 전달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빌 클린턴 행정부 당시 국가안보보좌관을 맡은 새뮤얼 버거는 2000년 12월 관련 기관들에 공문을 보내 1931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에 의해 저질러진 전쟁범죄 관련 기록을 예비조사할 것을 지시했다.

이에 따라 IWG는 관련 기관들에 일반 대중과 역사학자들이 관심을 가질만한 자료들을 발굴하도록 일종의 지침을 제시했다.

이는 ▲강제노역 또는 노예활동을 포함해 전쟁포로와 민간인에 대한 일본군의 처우 ▲민간인을 상대로 한 박해와 잔혹 행위 ▲생화학무기 개발과 사용, 특히 731부대와 부대장인 이시이 시로 ▲일왕과 특정 전범들을 불기소한 미국 정부의 결정과 함께 ▲식민지 여성에 대한 일본의 조직적 성노예화를 의미하는 소위 '위안부' 프로그램과 관련한 자료를 발굴하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IWG가 2006년 발간한 '일본전범 연구보고서'(Researching Japanese War Crimes)에 따르면 4년여간 진행된 이 조사는 군대 위안부 관련 자료 찾는 데는 실패했으나 식민지 여성과 소녀들의 납치(강제연행)를 고발하는 일부 문서들을 찾아냈다.

여기에는 일본이 싱가포르에서 400여명의 중국 여성들을 납치했다는 1943년 중국 언론보도와 인도차이나에서 활동한 일본군 장교가 현지 여성들에게 위안부 활동을 하도록 위협했다는 발언 내용이 담겨 있다고 연구보고서는 밝혔다.

이 연구보고서는 일본에 대한 반감을 줄이고 성병의 확산을 막으려고 일본군이 1932년 무렵부터 민간업자들을 고용해 위안소를 운영했다고 소개하기도 했다.

위안부 조직적 프로그램 소식에 네티즌은 "위안부 조직적 프로그램, 미국은 벌써 알고 있었던 사실인데 적극적으로 나서지", "위안부 조직적 프로그램이란 사실이 만천하에 드러나도 국제관계에서 힘의 논리 때문에 미국이 일본에 압박을 가하지는 않을 듯" 등의 반응을 보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