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60유권자 늘고 통합신당 지지율도 역부족… 야당필승 지방선거 달라질까

입력 2014-03-14 08:4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50~60대 이상 유권자 수가 늘어나면서 통상 야당에 유리하게 작용했던 지방선거가 이번에는 달라질 지 주목된다.

안전행정부가 최근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50대 이상 유권자 수는 처음으로 전체의 40%를 넘어섰다. 대체로 20~30대가 진보적 성향을 가진 반면, 50~60대 유권자들은 보수성향이 높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대적으로 보수당에 유리할 거란 전망이 제기된다.

과거 사례를 보면, 다섯 차례의 지방선거는 대부분 야당이 이겼다. 지방선거가 ‘여당의 무덤’이라고 불리는 이유다. 지난 2006년 노무현정부에서 치러진 제4회 지방선거에서는 여당인 열린우리당이 전체 16개 광역지방자치단체장 가운데 전북을 제외한 다른 15곳을 모조리 야당과 무소속 후보들에게 넘겨줬다. 반면 야당이던 한나라당(새누리당의 전신)은 12곳의 광역단체장을 차지했었다. 이명박정부 출범 후인 2010년 5회 지방선거에선 여당인 한나라당이 광역단체 16곳 중 6곳을 얻었고, 야당인 민주당이 서울과 인천을 비롯해 7곳을 차지했다.

하지만 대통령 지지율이 높았을 때 예외를 보인 적이 있다. 1998년 실시된 2회 지방선거는 김대중 당시 대통령이 60%초반 지지율을 등에 업고 승리하는 결과를 얻었다. 역대 다섯 번의 지방선거 중 가장 대통령 지지율이 높았을 때 치른 선거였다. 이런 탓에 정치권에선 ‘대통령 지지율이 높을수록 여당의 승률이 높아진다’는 속설이 나온다. 특히 50%대를 기록 중인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율은 집권여당이 지방선거에서 누릴 수 있는 강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평가다.

민주당과 안철수신당의 통합신당 지지율이 예상 외로 높지 않다는 점도 선거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실제 리얼미터가 지난 3~7일간 조사한 결과(신뢰수준 95%, 표본오차±2.0%p) 통합신당 지지율은 38.3%로 추락해 새누리당(47.8%)과는 9.5% 포인트로 벌어졌다.

‘정권 심판론’보다 ‘안정론’에 무게를 두는 유권자의 성향도 변수로 작용할 공산이 크다. 지난 4일 경향신문과 한국리서치 여론조사 결과 ‘정부와 여당의 국정운영에 힘을 실어줘야 하는 선거’라는 ‘안정론’은 49.4%를 기록한 반면 ‘대통령과 여당을 견제하고 심판해야 하는 선거’라는 ‘심판론’은 35.8%에 그쳤다.

반면, 야권이 ‘정권 견제론’을 앞세워 정부·여당의 대선공약 파기 등을 집중 공격한다면 야당에 유리한 구도로 전개될 수 있다는 상반된 의견도 나온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