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필 “농업예산 누수 없게…지역특성 맞는 농정 추진”

입력 2014-03-11 17:2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이동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11일 “어려운 집에 시집온 며느리처럼 예산 누수가 없도록 꼼꼼하게 챙기겠다”고 말했다.

이 장관은 이날 취임 1주년을 맞아 출입기자들과 가진 오찬간담회에서 “올해 농업예산이 13조5000억원으로 충분치는 않지만 알뜰하게 쓰면 할 수 있는 일이 많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떡사먹고 엿사먹고 하다보면 모이는게 없다. 욕좀 먹더라도 뙤기밭 사고 소도 사고 자식들에게 미래를 물려주겠다”면서 재정 투자의 효율성 높이고 지역 농업 특성에 맞는 농정을 추진할 것을 악속했다.

이어 “농업 개방화로 인한 위기를 기회로 만들기 위해 농업인, 유관기관과 협업하는 시스템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 장관은 지난 1년간을 돌아보며 “평생 연구소에 있으면서 농정 연구를 했지만 막상 운전대를 잡고 보니 그렇게 호락호락하지 않았다”며 “현장에 답이 있다는 생각으로, 초등학생이 1, 2, 3, 4부터 배운다는 마음으로 쫓아다녔지만 내놓을게 마땅히 없어 계면쩍고 죄송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농촌과 농업의 본질적 가치를 지키려고 노력했다”면서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등 농업계 현안이 아직 가야할 길이 먼 만큼 농업인들이 안심할 수 있도록 책임감을 갖고 일하겠다”고 강조했다.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 사태와 관련해선 “많은 부처가 적극적으로 도와 과거와 같은 불협화음 없이 AI 방역체계가 일사불란하게 작동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매일 아침 AI 관련 회의를 한 게 53일째가 됐다”며 “이렇게 장·차관이 아침마다 회의한 적은 유사 이래 없었다”고 덧붙였다.

일하는 방향에 대한 개선 의지도 내비쳤다. 그는 “지자체나 마을이 주인임에도 중앙정부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자신의 문제를 주체적으로 해결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면서 “지자체, 마을, 개별 농업인이 재량을 가지고 자기 운명을 개척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도록 정부가 정책 방향을 바꾸겠다”고 약속했다.

기획재정부 한 관계자가 쌀 관세화를 철폐하면서까지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에 참여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힌 데 대해선 “농업을 이해해고 쌀의 가치를 애해해 준데 대해 고맙게 생각한다”며 “나중에 어떤것이 국가에 도움이 되는 길인지 논의할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