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첩 사건 위조 의혹' 국정원 협력자, 자살시도 현장 의혹 증폭…왜?

입력 2014-03-07 15:0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간첩 사건 위조 의혹, 국정원 협력자

▲사진 = 연합뉴스

'간첩 사건 위조 의혹' 국정원 협력자 자살 기도 현장이 사건 발생 5시간여 만에 치워진 사실이 알려진 것과 관련해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

사건의 중요 참고인이 피로 쓴 '국정원, 국조원'이라는 글자를 남기고 자살을 기도한 상황에서 조사 중에 현장을 보존하지 않고 빠른 시간에 치워진 것이 의문을 갖기에 충분해 보인다.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 측은 사건 현장 보존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며 은폐 의혹을 제기했다.

민변 관계자는 "강력 사건에서 현장 보존은 기본"이라며 "자살 시도인지 아닌지 명백히 밝혀지지 않은 상황이고 현장에서 피로 글씨를 쓴 흔적이 발견됐다면 조사가 필요한데 현장을 보존하지 않고 정리한 것은 수사의 기초에 어긋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이날 경찰은 "서울시 간첩사건과 관련해 검찰 조사를 받던 인물이라는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호텔 주인의 자살 의심 신고를 받고 출동한 건이어서, 통상적인 단순 자살 기도 사건과 마찬가지로 절차에 따라 처리했다"며 고의 훼손 의혹을 일축했다.

경찰은 현장 채증 작업을 마치고 나올 때까지도 김 씨가 서울시 간첩사건과 관련해 검찰 조사를 받던 인물이라는 사실을 검찰로부터 전해듣지 못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 관계자는 "애초 검찰이 112에 신고할 때 단순히 자살이 의심되니 찾아달라고만 했지 조사를 받던 사람이라거나 간첩사건에 관련된 사람이라는 말은 전혀 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애초 경찰은 사건 현장에서 채증 등 작업을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가 현장 훼손 의혹이 일자 채증 작업을 한 사실이 있다며 말을 번복하기도 했다.

국정원이 연루된 사건이어서 심적 부담을 느꼈다가 경찰 책임을 지적하는 언론 보도가 잇따르자 태도를 바꾼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간첩 사건 위조 의혹' 국정원 협력자 자살 기도 사건 은폐에 대해 시민단체 일각에선 "간첩 사건 위조 의혹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현장을 급히 처리할 이유가 뭐겠느냐", "간첩 사건 위조 의혹 덮으려는 건 아닌지 의심이 된다"며 사건의 심각성을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