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D는 극히 적은 전류로 빛을 낼 수 있어 절전 차원에서 말하자면 세계적 친환경 붐을 타고 있는 전자 디바이스라 할 수 있다. 특히 백색 LED는 1990년대 후반 일본의 니치아화학공업이 청색 LED를 개발하고, 여기에 황색 형광체를 씌워 백색화에 성공한 것이 효시다. 이에 따라 조명광원으로서의 용도가 단숨에 확대됐다. 당초 휴대전화 액정 패널의 백라이트 수요를 통해 보급됐다.
이후 대형 LCD TV에 대량 채용되면서부터 폭발적으로 늘었다. 대형 LCD TV는 500~1000개의 LED를 이용하는 것으로, 특히 대형 애플리케이션이었으나 세계 출하 대수가 연간 2억 대를 넘은 시점부터 완전히 성장이 멈췄다. 현재로서는 교체 수요가 중심이며, 이에 따라 LED 세계시장도 성장이 멈춰 버린 것이다.
그런데 LED 제조업체의 매출 순위를 보면, 니치아화학공업이 장기간 세계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최근 들어 삼성전자, LG전자, 서울반도체 등 한국 기업들이 맹추격하고 있지만 고급 제품에서든 저가 제품에서든 강한 니치아화학공업의 아성은 여간해선 무너지지 않는다.
기술적으로도 세계에 가장 앞서 있어 품질에서도 정평이 나 있는 니치아화학공업은 설비투자에도 적극적이다. 2010년 582억 엔, 2011년에는 826억 엔, 2012년에는 614억 엔, 2013년에도 500억 엔을 투입했다고 보여지는 등 항상 일정 수준의 높은 투자를 단행하고 있다.
이런 배경으로는 이 회사의 영업이익률이 매우 크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덕분에 높은 수준의 투자를 할 수 있는 환경에 있다는 것이다. 2006년 당시 매출의 약 60%가 영업이익이라는 놀라운 실적을 냈고, 최근 줄었다고는 하나 매출의 30% 이상이 이익이라고 알려졌다. 일본 반도체 업체 중 이 정도의 고수익을 내는 업체는 드물 것이다.
현재 니치아화학을 쫓고 있는 세계 2위 삼성은 플래시 메모리, DRAM, LCD 등 항상 대형 투자를 하고 있어 솔직히 LED에 전력 투입할 수 없는 것도 니치아에는 플러스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것은 세계 4위인 LG전자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다.
2012년 시점에서 나라별 시장 점유율을 보면 일본 기업들이 세계시장 점유율 30%를 가지고 여전히 세계 최고의 자리에 있다. 니치아를 필두로 세계 8위인 도요타갓세이, 9위인 샤프가 분발하고 있다. 이에 대해 한국 기업들은 점유율 28%로 일본을 맹추격하고 있어 향후 상황에 따라서는 한국이 일본을 제치고 격차를 한층 벌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참고로 미국·유럽 기업들은 점유율 19%, 대만 기업들의 점유율은 15%, 중국 기업들의 점유율은 8%다.
백색 LED는 최근 들어 성장을 기대하기 어려워지고 있지만 적색 LED는 향후 급성장이 기대된다. 적색 LED는 혈액 중의 헤모글로빈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특성이 있으며, 이것을 헬스케어 분야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차세대 스마트폰에는 상당히 많은 적색 LED가 탑재될 것으로 알려졌다. 즉, 혈압, 혈류 등의 헬스케어를 모바일 단말기로 실시하는 시대가 오고 있기 때문이다.
LCD TV용 백라이트라는 거대 시장에 대해 포화상태라고 하지만 다양한 용도 확대는 계속될 것이다. 미국 에너지부의 LED조명 보급 계획을 보더라도 2030년에는 LED 보급률을 74%로 상향해 기존 대비 46%의 에너지 절약을 전망하고 있다. 참고로 중국에서의 LED 보급 확대가 화제가 된 바 있다. 하지만 실제로 LED 조명이 가장 많이 보급된 나라는 일본이다. 절약 정신이 강한 일본에서는 2015년 LED 조명 보급률이 70%를 넘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다음은 이즈미야 와타루 대표의 특별기고 원문이다.
世界のLED市場は2017年まで1.4兆円規模で長期横ばいが続く
~意外と伸びない照明向け白色LED、ヘルスケア用途で赤色LEDに期待
あれだけ急成長の期待がかけられたLEDマーケットはここに来て全く伸びが止まっている。2012年から2017年にかけての5年間についてもほぼ横ばいで推移すると見られており、世界市場は1.4兆円で止まったままだ。照明用途に過剰な期待が集まったが、実のところは世界的には白熱電球、蛍光灯からの置き換えがなかなか進まない。
さて、LEDはきわめてすくない電流で光を発することができるため、省エネルギーという観点でいえば世界のエコブームに乗っている電子デバイスだ。特に白色LEDは1990年代後半に日本の日亜化学工業が青色LEDを開発し、これに黄色の蛍光体をかぶせることで白色化に成功したのが始まりだ。このことで照明光原としての用途が一気に広がった。当初は携帯電話の液晶パネルのバックライト需要ではじけた。
その後には、大型液晶テレビに大量採用され、これで爆発的に伸びた。大型液晶テレビは500~1000個のLEDを用いるわけであり、まさに大型アプリであったが、世界出荷台数が年間2億台を越えたあたりから完全に伸びが止まった。
現状では買い換え需要が中心であり、このことでLEDの世界市場も伸びが止まってしまったのだ。
ところでLEDメーカーの売り上げランキングを見れば、日亜化学工業が長期にわたって世界チャンピオンの座を守っている。ここにきてサムスン、LG、ソウルセミコンダクターなど韓国勢の追い上げも激しいのであるが、ハイエンドでもローエンドでも強い日亜化学の牙城はなかなか崩せない。技術的にも世界に最先行しており、品質の良さでも定評のある同社は設備投資についても積極的だ。2010年には582億円、2011年には826億円、2012年には614億円、2013年についても500億円を投入したと見られ、常に一定レベルの高水準投資を断行している。
この背景としては、同社の営業利益率が非常に高い、ということがあり、要するに高水準投資を充分にできる環境にあるのだ。2006年当時は売り上げの約60%が営業利益というすさまじさであり、最近はさすがに減ってきたとはいえ、やはり売り上げの30%以上が利益だといわれている。日本の半導体メーカーでこれだけの高収益をたたき出すメーカーはまずいないだろう。
現状で日亜化学に迫っている世界ランク第2位のサムスンは、フラッシュメモリー、DRAM、液晶など常に大型投資案件を抱えており、正直言ってLEDに全力投入できないことも日亜にはプラス要因に働くのだ。これは世界4位のLGについても同じことが言えるだろう。2012年段階における国別マーケットシェアを見れば、日本勢が世界シェア30%を持ち、いまだ世界トップの座にある。日亜を筆頭に世界ランク8位のトヨタ合成、同9位のシャープがそれなりに頑張っている。これに対して韓国勢はシェア28%で日本を猛追しており、今後の状況によっては韓国が日本を追い抜き、さらに差を広げる展開とも言えそうだ。ちなみにアメリカ・ヨーロッパ勢はシェア19%、台湾勢はシェア15%、中国勢はシェア8%となっている。
白色LEDはここに来て伸びを欠いているが、赤色LEDについては今後急増が期待できる。赤色LEDは血液中のヘモグロビン濃度を測れるという特性があり、これがヘルスケアに生きるのだ。次の世代のスマートフォンにはかなり多く赤色LEDが搭載されるといわれている。すなわち、血圧や血流などのヘルスケアをモバイル端末で行うという時代がもうそこまで来ているのだ。
液晶テレビ向けバックライトという大きなマーケットが成熟化してきたとはいえ、さまざまな用途拡大は今後も続くだろう。米国エネルギー省のLED照明普及計画を見ても2030年にはLED普及率を74%に引き上げ、従来比46%の省エネを見込んでいるというのだ。ちなみに中国におけるLEDの普及拡大が話題になったが、実際のところLED照明が世界でもっとも普及している国は日本である。もったいない精神が国民の一般的な哲学となっているこの国では、2015年にはLED照明普及率が70%を超えてくるとまで予想されているの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