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와 힐링]꽃이 피면 봄이 온다 '매화나무'

입력 2014-03-03 11:0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박형순의 신비로운 나무의 생태

매화나무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이다.

키는 3~5m 정도이며 잎은 달걀 모양이고 끝 뾰족하고 잎 가장자리에는 가는 톱니가 있다. 꽃은 이른 봄 잎보다 먼저 피면서 보통 잎겨드랑이에 1~3송이가 달린다. 꽃빛은 백색, 담홍색, 홍색 등 품종에 따라 여러 색깔로 핀다. 2~4월이 개화기로 꽃잎은 보통 5장이고 향기가 좋다.

봄은 찬미의 계절이요, 여름은 생리의 계절이다. 가을은 성숙의 계절이고 겨울은 사색의 계절이다. 그래서 매화는 무언가 생각하는 것이 있어서 뜻을 나눌 수 있다. 꽃을 생각할 때 매화는 무언가 피는데 스스로 생각하는 것이 있다.

매화는 모든 꽃에 앞서서 피는 까닭에 백화괴(百花魁) 또는 화괴(花魁) 또는 화형(花兄)이라는 이름을 얻고 있다.

옛 책에는 매화의 종류로 쌍매(雙梅), 수지매(垂枝梅), 녹악매(綠?梅), 자매(紫梅), 동심매(同心梅), 추지매(?枝梅), 홍매(紅梅), 주매(朱梅), 백매(白梅), 야매(野梅), 춘고초(春告草) 등 이름이 많다. 매화를 호문목(好文木)으로 말하는 것은 매화가 시객들의 친구로 잘 지내 왔기 때문일까. 다음 동야시(冬夜詩)에서 호문목의 뜻을 가히 짐작할 수 있을 것 같다.

우리나라 옛 그림에도 매화를 소재로 한 것이 많다. 김명국의 탐매도(探梅圖)는 17세기 중엽 비단에 채색한 것인데 대지팡이를 든 은사(隱士)가 매화꽃을 시자(侍者)와 함께 완상하는 한적한 분위기를 표현했다. 조속의 매작도(梅鵲圖) 또한 17세기 전반에 족자 종이에 수묵으로 그린 것인데 매화나무의 늙은 가지에 한 마리의 까치가 꼬리를 내린 채 앉아 있다. 강인한 매화나무의 늙은 줄기에 가시처럼 난 작은 가지 위에 매화가 그 아름다움을 자랑하는 명품이다. 조희룡의 매화서옥(梅花書屋) 속 매화나무는 키가 크고 줄기가 굵으며 흰 꽃이 만발해 있다. 그래도 못 다해서 서재 꽃병에는 일지매(一支梅)가 꽂혀 있다.

중국의 도(陶), 하(夏), 당(唐)의 3대 군신을 식물로 보고 매화를 도(陶)의 열왕과 영왕에 비유하고 모란으로 하(夏)의 문왕을 그리고 연꽃으로 하여금 당(唐)나라의 영왕에 비유했다. 나라가 잘되고 못되고는 좋은 신하를 둔다는 것 그리고 왕의 현명한 판단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우리에게 알려 준다.

여기에 매화나무의 나라가 오래가지 못하고 쓰러진 것은 서운한 일이다. 그러나 매화꽃은 어느 때인가는 떨어질 것을 생각하면 올 것이 온 느낌이다.

매화나무의 꽃이 피면 이제 봄이 올 것을 짐작한다. 월력을 머리 옆에 두고 있을 필요가 없다.

그래서 매력이란 말이 생겼다. 초여름의 장마를 매우라고 하는데 이는 매실이 익을 때라고 해서 그렇게 불렀을지도 모른다. 매화나무의 매(梅)자는 중국에서 ‘메이(mei)’라고 발음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매’라고 말한다. 일본 사람들은 ‘우메’라고 말하는데 이것도 ‘메이(mei)’에서 기원하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꽃이 좋고 열매가 값비싸기 때문에 모두들 더 관심을 가질 만하지 않을까. 생각하면서 살아가는 것과 반성하면서 살아가는 것이 올바른 길이라면 매화나무를 곁에 두든지 또는 그것을 마음에 두어야 할 것이 아닌가.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