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어디로...총체적 위기 왔다?

입력 2014-02-26 10:4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세계 최대 비트코인 거래소인 일본 마운트곡스가 거래중지 상태에서 웹사이트 마비사태까지 일으키면서 비트코인 업계에 총제적 위기가 왔다는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

26일 마운트곡스 운영자는 “최근 일련의 언론 보도와 마운트곡스 운영에 잠재적 악영향을 감안해 사이트와 이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모든 거래를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현 상황을 면밀히 검토해 그에 맞는 조치를 취할 계획”이라고 공지했다.

지난 25일 마운트곡스 웹사이트는 접속이 불가능한 상태였고 월스트리트저널(WSJ)등 주요 외신들은 사이트 삭제 가능성도 거론했다. 인터내셔널비지니스타임스(IBT)는 마운트곡스 홈페이지 마비에 대해 ‘마운트곡스의 사망 ’이라고 전했다.

뉴욕타임스(NYT)는 비트코인 업계에 퍼진 문서를 인용해 마운트곡스에서 전 세계 비트코인 유통량의 6%에 해당하는 74만4000개의 비트코인이 수년에 걸쳐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도교에 본사를 둔 마운트곡스는 지난 7일 기술적 오류로 인출 서비스를 일시 중단했으며 현재까지 서비스를 재개하지 못한 상태다.

마운트곡스에서 문제가 속출하자 다른 비트코인 관련업체들은 이번 사태와 관련이 없다며 선 긋기에 나섰다.

블록체인 비트스탬스 BTC차이나 코인베이스 서클 크라켄 등 비트코인 업계를 대표하는 6곳의 비트코인거래소와 관련업체의 최고경영자(CEO)들은 마운트곡스의 일시 거래중단과 관련해 투자자들 사이에서 우려가 확산하자 고객 자금의 안전 확보를 위해 서로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성명을 통해 “마운트곡스 이용자의 믿음을 저버린 이번 비극은 기업의 ‘혐오스러운’ 대응의 결과일 뿐, 비트코인이나 가상통화 업계의 가치나 회복력에 대한 것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비트코인에 대한 잠재적 리스크는 주요국 금융당국으로부터 제기돼 왔다.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 은행 당국은 비트코인 사용에 대해 경고했으며 중국인민은행은 금융기관의 비트코인 취급을 금했다. 인도네시아도 비트코인 등 가상통화의 거래 위험성을 경고하며 사용을 금지했다.

마크 카펠레스 마운트곡스 최고경영자(CEO)는 이메일을 통해 이번 사태에 대해 “사업의 전환점(turning point)을 맞았다”면서 “조만간 공식적인 발표를 해야 하지만 다른 관계 업체 등도 있어 현재로서는 많은 말을 할 수 없다”고 밝혔다.

한편 웹사이트가 마비되기 전 마운트곡스에서 거래된 비트코인 가격은 150달러 선까지 추락했으며 비트스탬프에서는 단위당 500달러대에서 거래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