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교복업체 담합 의혹…같은 가격 지역 봤더니

입력 2014-02-20 11:2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내 4대 교복 브랜드 업체가 가격 담합 의혹에 휩싸였다. 또 동일 브랜드 업체의 교복 가격임에도 지역에 따라 최대 10만원 가량 차이가 나는 등 지역편차가 커 교복 가격 기준에 대한 의구심도 제기됐다.

20일 교육부가 16개 시·도(세종시를 제외)의 4대 브랜드 업체 교복가격을 긴급조사한 결과를 보면 동복 기준 개별 구매의 평균가격은 25만7055원으로 교육부가 제시한 교복 상한 기준인 20만3084원보다 5만원 이상 비쌌다.

교육부는 4대 업체가 일선 학교의 공동 구매에 참여하지 않고 개별 구매를 유도해 구입 가격이 높게 형성된 것으로 보고 있다.

16개 시·도 가운데 서울 송파구, 대구 북구, 대전 중구, 충남 천안·아산·당진시, 전남 순천·여수시 등 8개 지역은 지역 내에서 4대 업체의 교복 가격이 똑같았다. 대구 수성구, 광주 서구, 대전 서·동구, 전남 목포시, 경남 창원시 등 6개 지역은 4개 업체 중 3개 업체의 가격이 일치했다. 충북 진천·옥천군, 전북 부안군, 경남 거창군 등 4개 지역은 지역 내에서 영업 중인 2개 업체 대리점의 가격이 서로 같았다.

이에 이들 업체 대리점간 가격 담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고있다.

여기에 같은 브랜드 업체라도 지역별로 가격 편차가 매누 크게 나타났다. A업체 교복은 충남에서 평균 22만8000원에 판매됐지만 전남에서 평균 27만9333원에 판매돼 5만원 이상 차이를 보였다.

B업체 교복의 경우 서울 금천구에서의 가격이 19만3000원이었지만 같은 시의 강동구에서는 29만9000원에 판매되며 10만원이 넘게 차이났다.

조진형 자율교육학부모 연대 상임대표는 “(교복사들의)담합으로 볼 수 있어 관련 증거자료를 수집해 공정거래위원회에 고발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학교가 경쟁입찰을 진행해 교복 공급업자를 선정하면 교복 가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보고 내년부터 국·공립학교에 이 같은 학교주관구매를 강제하기로 했다. 또한 학생, 학부모가 브랜드 업체 제품을 선호하는 이유가 이들 교복의 안감에 해당 브랜드임을 식별할 수 있는 디자인이 들어가 있기 때문이라고 보고 같은 학교의 교복이면 안감 역시 디자인을 통일하도록 지침을 내릴 방침이다.

한편 이번 조사는 시·도교육청이 관할 지역 내 3개 시·군·구를 선정해 4대 브랜드 업체 대리점에 직접 가격을 문의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부산과 제주는 2개 지역만 조사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