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은 자신의 건강 수준에 대해서 만족하지 않으면서도 건강을 개선하려는 노력은 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됐다.
LG경제연구원 윤수영 연구위원은 11일 '한국인의 건강 인식' 보고서에서 한국인은 신체적·정신적 건강 상태에 대해 매우 낮게 평가하고 있다며 이같이 분석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하우즈 라이프(How's life) 2013'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응답자 중 자신이 '매우 건강하다' 또는 '건강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36.8%였다. 이는 조사대상 31개국 중 일본(30.0%) 다음으로 낮은 30위다.
필립스 건강·웰빙센터가 31개국 4만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 '나이에 맞게 신체적으로 건강하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한국인 응답자는 21%만 '그렇다'고 답했다.
OECD가 조사한 기대수명과 영아사망률, 비만 인구 비중 등을 보면 한국인의 건강상태가 양호한 수준으로 분석되는 것과 대조되는 모습이다.
하지만 건강에 대한 국민의 관심도 크다. 실제 2004∼2013년 건강·힐링·걷기·유기농 등 50여개 키워드가 포함된 언론기사를 조사한 결과 이런 키워드를 포함한 기사 수가 연평균 10.7%씩 늘었다.
하지만 관심에 비해 한국인의 운동 실천율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보면 1주일 동안 걷기를 포함한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을 실천하지 않은 비율이 53.2%에 달했다. 이 비율은 2009년 이후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