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 유산소 조건에서 수소 만드는 녹조류 발견

입력 2014-02-11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내 연구진이 고농도 산소환경에서도 활성을 띠는 ‘수소화효소’를 가진 수소생산 녹조류를 찾아냈다. 이에 따라 녹조류를 이용한 친환경 수소생산 연구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11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흔히 보이는 광합성 녹조류에서 대기조건(21% 산소 농도)과 비슷한 고농도의 산소환경에서도 활성을 띠는 수산화효소가 규명됐다. 그간 알려진 수소생산 미생물은 대부분은 산소 농도 2% 이하인 환경에서만 수소를 만들었다.

연세대학교 환경공학과 전병훈 교수가 주도하고 황재훈 박사 등이 꾸린 연구팀은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산소 농도변화에 따라 이 녹조류가 만드는 수소량의 변화와 수소화효소의 활성 변화를 정밀 관측했다. 그 결과 녹조류가 성장하면서 광합성 등을 통해 만드는 산소농도를 21% 이하로 제어하면 극소량이지만 4일간 지속적으로 수소를 발생시킬 수 있었다.

특히 발견된 미세조류는 국내에서 쉽게 확보할 수 있는 종으로 응용에 유리하다는 설명이다. 한편 연구팀은 수소화효소 유전자 규명 등 후속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전 교수는 “극소량이지만 미세조류에서 차세대 연료인 수소를 직접 얻는 기술의 개발과 산소에 내성이 있는 수소화효소의 발견은 수소생산 응용과학에 한 걸음 다가가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으며, 연구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지(Nature Communications) 2월 4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