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TM영업 전면 금지...금융사들 '한숨'만

입력 2014-01-27 19:2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대책 없이 일방적 금지로 TM인력 대책 없어...향후 실적 악화도 문제

카드 3사 개인정보 유출 사태 이후 금융당국이 전화 권유 마케팅(TM)을 전면 금지하지 업계는 당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번 사태로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식 금융당국의 규제로 인해 업계를 더욱 압박하고 있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특히 TM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일부 금융사들은 향후 실적 악화 등을 우려해 대책 마련에 나섰지만 지점망이 부족해 이마저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27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TM영업을 전면 금지하자 가장 큰 타격을 입는 곳은 보험사들이다. 대형 보험사들을 제외하고 중소형 보험사들의 경우 지점 영업보다는 TM영업에 더욱 치중하고 있기 때문이다.

보험업계에 따르면 흥국화재(20.9%)·동부화재(11.2%)·KB생명(27.4%)·신한생명(18.0%)·AIA생명(13.7%) 등은 보험료 수입의 10% 이상을 TM에 의존한다.

특히 흥국화재는 6개 온라인 손해보험사를 제외하면 TM 의존도가 가장 높은 곳이다. 이에 대책 마련에 분주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회사 뿐만 아니라 TM 설계사들도 당장 영업을 하지 못하는 점이다. 한 손보사 관계자는 “TM 설계사로선 생존이 달린 문제”라며 “매우 갑작스러운 조치라 전혀 준비된 게 없다”고 한탄했다.

보험사 외에도 카드·할부금융사·저축은행들 역시 당국의 갑작스런 규제에 당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번 조치가 뚜렷한 법적 근거 없이 이뤄졌다는 점이 업계로선 불만의 목소리다. 수천명씩 되는 TM인력 운용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카드사 관계자는 "TM을 못 하게 만들면 카드사들은 상당히 어려워질 것"이라며 "금지 기간이 연장되면 상황이 심각해진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의 조치가 명확하지 않고 두루뭉술해 일선에선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혼란스럽다는 반응도 나온다.

한편 금융당국은 금융회사들의 반발이 거세지자 이날 보험·카드사·캐피탈 임원을 불러 협조를 당부하면서 전화를 통한 갱신 영업은 허용키로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