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윤희의 한성情談] 위안부 할머니, 정부가 보듬어야

입력 2014-01-27 13:56수정 2014-01-27 14:2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황금자 할머니가 향년 90세의 일기로 한 많은 생을 마감했다. 황 할머니가 떠나면서 정부에 등록된 위안부 피해자 234명 중 생존자는 55명으로 줄었다.

1924년 함경도에서 태어난 할머니는 꽃다운 13세 때 일본 순사에게 끌려가 강제노동에 시달리던 중 간도에서 위안부 생활을 했다.

꿈에 그리던 광복을 맞은 후에도 가정을 꾸리지 못하고 평생 홀로 살았다. 어려운 형편 속에서도 할머니는 빈 병과 폐지를 주워 어렵게 모은 1억원을 나라에 전부 기부했다.

2011년 12월에는 사후 전 재산을 사회에 환원하기로 한 유언장을 작성하기도 했다.

할머니가 이처럼 사랑한 고국, 우리 정부는 그런 피해자들을 따스하게 보살피고 있을까. 안타깝게도 아직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위안부 피해자들을 담당하는 주무부처는 여성가족부다. 여가부는 지난해까지만해도 한해 20억원이 채 안되는 예산을 위안부 사업으로 편성했다. 올해는 이를 45억여원 규모로 늘렸지만 현실성에는 크게 부족한 실정이다. 실제 피해자들에게 돌아가는 월생활안정지원금은 월 100만원으로, 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5%에 불과하다.

생존해 있는 위안부 할머니 전체를 돌보는 도우미(일용직) 예산은 일년에 4200만원이 고작이다. 추모관과 기념사업, 페스티벌 등 부대사업에 직접적인 지원정책보다 훨씬 많은 예산이 편성돼있다.

그렇다고 여성부의 위안부 관련 활동이 주목받는 상황도 아니다. 위안부의 상징으로 떠오른 소녀상은 여성부가 세우지 않았다. 각 지자체와 시민사회단체들이 위안부 피해를 알리는 데 여가부보다 더 적극적인 것이 현 상황이다.

특히 여성부는 독립기념관 내에 위안부회관 건립을 계획했다가 바로 번복하는 등 주무부처로서의 책임감 없는 모습도 보였다.

실제 여성부는 2007년 3차 여성정책기본계획에서 위안부 피해자 기념관 건립계획을 확정했다가 2008년 12월 발표한 3차 계획 수정판에서는 기념관 건립사업을 아예 제외시켰다.

제외 배경에는 독립기념관 이사회의 "독립기념관은 성역인데 이곳에 위안부회관을 짓는 것이 말이 되느냐"는 반대에 부딪힌 것이 결정적이었다.

결국 독립기념관 이사회가 기념관 건립에 반대한 데다 여성부도 이사회의 결정에 동의하면서 해당 사업은 대폭 축소·변경됐다.

당초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념관 건립 사업은 여성부, 국가보훈처, 독립기념관이 협의해 85억원의 예산을 투입, 약 1650㎡(약 500평)의 단층 건물을 신축하려던 계획이 틀어져 독립기념관 제2전시관 내 위안부 전시물을 보강하는 정도에 그친 것이다.

현재 위안부 피해자와 관련된 시설은 경기도 광주에 있는 '나눔의 집' 정도다. 정부 지원보다는 시민들의 성금 등으로 운영되는 곳이다.

최근 중국은 하얼빈역사 내에 이토 히로부미의 심장을 저격한 안중근의사의 기념관을 건립해 큰 화제를 모았다. 중국정부는 "테러리스트를 찬양한다"는 일본정부의 트집을 "항일의사"라며 단박에 잘랐다.

현실성 있는 예산 확충도 중요 하지만 무엇보다 정부의 적극적인 자세가 아쉽다. 정부가 책임있게 나서지 않는 상황에서 일본정부가 진심어린 사죄를 해온다 한들 피해 할머니들의 맺힌 한(恨)을 다 풀 수 있을까.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