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우범지역에 비명 알아채는 CCTV 설치 추진

입력 2014-01-08 16:4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감지 후 관제센터에 알람·경찰 현장 출동

정부가 우범지역에 비명을 알아채는 폐쇄회로(CC)TV를 개발해 설치한다.

또 사전에 입력된 생김새와 체형 등으로 미아 등 실종자를 찾아내는 CCTV도 나와 실종자 찾기에 활용된다.

안전행정부는 각종 사건·사고와 범죄로부터 국민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지능형 CCTV를 개발, 올해 시범적용 후 내년부터 전국으로 확산시킬 계획이라고 8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이상음원 발생지역 집중관제 서비스’는 CCTV가 관제하는 현장에 비명이나 자동차 충돌 소리, 유리창 깨지는 소리 등이 나면, 소리감지장치를 통해 즉시 감지하고 소리가 나는 곳을 비춰 신속한 현장 대응을 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비명이 나면 관제센터에 알람이 울림과 동시에 사고상황 화면이 크게 깜빡거리고 경찰에도 즉시 상황이 전파돼 현장출동이 이뤄진다고 안행부는 설명했다.

이 기술은 늦은 시간대에 귀가하던 여성이 치한의 습격을 받을 때 적극 활용될 전망이다.

또한 ‘실종 사회적 약자 찾기 서비스’는 실종 신고된 어린이나 치매노인, 지적장애인의 생김새, 의상, 체형 등 주요 특징 정보를 입력해 통합관제센터의 영상정보와 비교·분석해 실종자 찾기를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안행부는 충북 진천군과 부산 금정구에서 개발된 이들 지능형 CCTV를 올해 해당 지자체에서 시범운영하고 나서 그 결과를 반영한 서비스모델을 만들어 내년부터 전국 통합관제센터에 도입할 수 있게 할 계획이다.

한편 정부는 CCTV통합관제센터를 통해 지난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등 5대 강력범죄(살인·강도·강간·절도·폭력) 2718건을 포함해 1만3440건의 사건을 처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