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가정이 늘고 있는 농촌 지역 주민들 4명 중 3명 이상이 일상생활 언어로는 한국어 사용, 식생활 관련 문화는 다문화형 정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이 지난해 1월 15일부터 31일까지 열이레 동안 ‘농촌주민 대상 다문화통합정책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일상생활언어에서 다문화 부부 중 한국인 남편 76.1 %, 외국인 아내 67.2 %가 한국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답변했다. 지역민의 75.5%도 한국어 사용을 선호했다.
또 주거문화방식에서도 다문화 부부 중 한국인 남편 53.3 %, 외국인 아내 49.0 %, 그리고 지역민 56.0 %가 한국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식생활방식에서 다문화 부부 중 한국인 남편 79.2 %, 외국인 아내 82.3 %가 한국방식과 아내의 모국방식 모두를 수용해야 한다고 답했다. 지역민도 75.5 %가 이에 동의했다. 자녀 양육 시 사용언어 또한 다문화 부부 중 한국인 남편 65.5 %, 외국인 아내 70.7 %, 지역민 62.4 %가 한국방식과 아내의 모국방식 모두를 따라야 한다고 답변했다.
이번 조사는 한국인 남편, 외국인 아내로 이뤄진 다문화 부부 200쌍, 지역민 300명을 대상으로 시행됐다. 농진청은 이번 조사 결과를 이용해 일상생활언어, 자녀 양육 시 사용언어, 가족생활예절방식, 자녀양육방식, 식생활문화방식, 주거문화방식, 의생활문화방식, 종교활동 등 총 8개 생활영역별 다문화통합정책 모형과 활용지침을 개발했다.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농진청은 우선 일상생활언어영역은 적극적인 동화 정책을, 다른 영역에서는 한국형 문화와 결혼이민 여성의 출신국가 문화를 융합해 수용하는 정책을 제시했다. 특히 자녀 양육 시에는 한국어 습득에 주력하면서 이중 언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식생활문화에서는 결혼이민자의 출신국가 식문화를 수용하고 인정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