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 파업 이어 서울지하철도 파업 초읽기

입력 2013-12-17 09:1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서울지하철노조(1~4호선) 파업 예고에 교통대란 예상

전국철도노조 파업이 17일로 9일째를 맞은 가운데 서울지하철도(1~4호선)도 18일 파업을 예고하면서 교통대란이 우려된다.

수도권 전철(1·3·4호선 일부 구간)은 16일부터 평일 운행 횟수를 8.4%(2109→1931회) 줄인 상태며, 이날부터는 KTX도 하루 176~208회로 평소(200~232회)보다 12% 운행을 감축한 상황이다.

1·3·4호선은 코레일의 사정에 따라 추가 감축 운행이 이뤄질 수 있다. 여기에 서울메트로 제1노조인 서울지하철노동조합이 18일부터 철도노조와 공동파업 돌입을 예고했고, 서울메트로의 제2노조인 서울메트로지하철노동조합도 파업 여부를 검토 중이어서 출퇴근길 혼잡이 가중될 전망이다.

다만 서울메트로가 노조와 협상을 계속하고 있는 터여서 서울메트로지하철노조가 제1노조의 파업에 동참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서울메트로 노조는 민주노총 소속 제1노조와 국민노총 소속 제2노조로 나눠져 있다.

서울메트로지하철노조는 파업 찬반투표에 참여했지만 철도노조와의 연대파업에는 부정적인 입장이다. 제2노조는 이날 오전 현장간부 300여명이 참여하는 결의대회를 통해 투쟁 방침을 확정할 계획이다.

이에 서울시는 17일부터 비상수송대책본부를 운영하기로 했다. 시는 일단 서울메트로가 파업에 들어가면 시 직원 440명과 경찰 924명을 투입해 정상운행을 돕기로 했다.

서울 지하철 9개 노선 가운데 5∼8호선은 서울도시철도공사가, 9호선은 메트로 9호선이, 2호선은 서울메트로가, 1·3·4호선은 서울메트로와 코레일이 공동 운영 중이다.

이와 관련, 경찰은 철도노조 지도부 10명에 대해 검거에 나섰다.

서울서부지방법원은 16일 김명환 철도노조 위원장 등 서울지역 노조 간부 등 10명에 대해 청구된 체포영장을 발부했다.

파업 목적의 불법성에 대한 소명이 있고 사안의 중대성과 긴급성 및 소환 불응 등에 비춰 볼 때 도주 및 증거 인멸의 우려가 있다고 법원은 판단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