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코, 내년 국민행복기금 사각지대 38만5000명 챙긴다

입력 2013-12-12 09: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외환위기 당시 연대보증인 채무감면 본격화

자산관리공사(캠코)가 국민행복기금 사각지대에 대한 지원을 강화한다. 올해는 국민행복기금을 통한 양적 확대에 집중했다면 내년에는 지원이 절실한 대학생 연체자와 민간 배드뱅크의 장기연체자를 챙긴다는 방침이다.

캠코는 내년 국민행복기금을 통해 한국장학재단 연체자 5만5000명과 민간배드뱅크(상록수SPC) 장기연체자 33만명 등 총 38만5000명에 대한 신용회복 지원에 나선다고 12일 밝혔다.

현재 국회에는 ‘한국장학재단 설립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계류 중으로 캠코는 관련법 통과 이후 연체채권 매입 및 채무감면 등이 신속히 이뤄지도록 준비하고 있다. 이미 가신청을 진행 중으로 이달 9일 현재 학자금 대출 연체자 1065명이 행복기금에 신청한 상태다.

캠코는 한국장학재단 채무자에 대한 채무조정 신청 및 접수기간을 내년 1월 말까지 연장할 계획이다.

외환위기 당시 연대보증 중소기업인에 대한 지원에도 속도를 낸다. 캠코는 올해 11월 말까지 인수한 공공채권 중소기업인(2조5000억원)을 대상으로 신용회복 및 종합자활 프로그램을 통한 경제적 재기 지원을 실시할 예정이다.

현재 지난 1997년부터 2001까지 도산한 중소기업의 연대보증채무로 경제활동에 곤란을 겪고 있는 계층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7월부터 이달 말까지 채무조정 신청을 접수 중이다. 지난달까지 총 4779명이 방문 및 상담을 받았고 2191명이 채무조정을 신청했다.

캠코는 지난 10월부터 11월까지 신·기보 등으로부터 외환위기 당시 연대보증인 관련 공공채권 약 2조5000억원에 대한 인수계약을 채결한 상태로 현재 채무조정제도 안내에 주력, 내년부터 본격적인 채무감면을 실시한다.

아울러 서민금융 인프라 연계 강화를 통한 질적 서비스 제고에도 힘쓴다.

신용회복지원을 채무자에게 직접 안내하는 신용정보회사(CA)들의 업무수행 체계를 획기적으로 개편,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

또 취업지원 등 실질적 자활·재기 기회를 제공하는 한편 서민금융 인프라를 활용한 현장밀착형 상담 기능을 강화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