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민영화 반대 명문 앞에 애꿎은 시민만 피해

입력 2013-12-10 06:4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철도노조 이어 서울지하철노동조합도 파업…올 겨울 서울 교통 대란 우려

서울 지하철 1호선을 이용하는 직장인 A모(30)씨는 앞으로 출퇴근이 걱정이다. 서울지하철 1~4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메트로가 속한 서울지하철노동조합이 파업을 예고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A씨는 “지하철을 타지 못 할 경우 집에서 회사까지 버스를 두 번이나 타야하는 불편을 겪어야 한다”며 한 숨을 내쉬었다.

올 겨울 출퇴근 시간에는 교통대란이 예상된다. 전국철도노동조합이 9일 오전부터 총파업에 돌입한 가운데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서울지하철노동조합 마저 오는 18일 파업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두 노조는 코레일의 철도민영화에 반대한다는 명분을 앞세워 국민들의 안위는 뒷전으로 미룬 모양새다.

서울지하철노조는 지난 2일부터 4일간 조합원 8065명을 대상으로 파업 찬반 투표를 실시한 결과 87.2%가 찬성(투표율 93.5%)해 파업이 확정됐다고 설명했다.

서울지하철노조는 “코레일의 철도민영화 저지를 위한 총파업 투쟁에 철도노조와 함께할 것”이라며 “서울시가 9일 코레일 파업과 관련해 1·3·4호선 임시열차 증편 등 비상대책을 발표했는데 거부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노조 측은 또 18일 이전에라도 부분 파업 등이 진행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철도노조는 지난 2009년 이후 4년 만에 파업에 돌입했다.

이에 따라 서울시가 시민 및 수도권 일반인들의 교통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비상수송대책 가동에 돌입했다. 시는 먼저 지하철 1~9호선 전동차 16편성을 비상 대기시키고 지하철 1·3·4호선을 따라 운행하는 시내버스 50개 노선을 출퇴근시간대 집중 배차하기로 했다.

또 파업이 8일 이상 장기화될 시에 대비해 지하철 1~4호선을 평상시 대비 일 평균 26회로 증회 운행할 방침이다. 수도권 구간 버스 연장·증차 등 특별교통대책도 함께 시행한다.

윤준병 서울시 도시교통본부장은 “파업 종료시까지 시민의 불편함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서울시에서도 만전을 기하겠다”며 “시민여러분께서는 지하철 질서유지를 위해 적극 협조해 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하지만 서울지하철노조가 파업을 예고하면서 이 대안 마저도 무용지물이 될 가능성이 높다.

게다가 올 겨울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눈이 내릴 것으로 예보돼 시민들은 버스나 승용차, 택시보다 지하철을 이용할 가능성이 높다. 이런 상황에서 지하철이 발이 묶일 경우 교통 대혼란까지 가져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결국 수도권에 거주하는 애꿎은 국민들만 피해를 보게 됐다.

안산에서 서울로 출퇴근 하는 B씨(34)는 “철도민영화에 반대하는 의사표현도 좋지만 수도권에 생활하는 국민을 위한 배려가 없는 것 같아 아쉽고 화가 난다. 앞으로 출퇴근길이 막막하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