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학력 미달 중·고생 비율 5년 만에 '상승'

입력 2013-11-29 09:1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보통학력 이상 비율은 상승세 이어가

전국 중·고등학교의 기초학력 미달 학생 비율이 5년 만에 상승했다.

교육부는 ‘201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분석한 결과,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3.4%로 지난해보다 0.8% 포인트증가했다고 29일 밝혔다.

표집조사에서 전수조사로 바뀐 2008년 이후 처음으로 증가세로 돌아선 것이다. 기초학력 미달 비율은 전수조사로 실시된 2008년 8.0%를 기록한 이래 2009년 5.4%, 2010년 4.2%, 2011년 2.8%, 지난해 2.6%로 계속 떨어졌다가 5년 만에 상승세로 반전했다.

올해 학업성취도 평가는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2학년 전체 학생 110만명을 대상으로 국어·수학·영어 3개 교과에 대해 지난 6월 25일 시행됐다.

올해부터 초등학교는 학업성취도 평가를 폐지했고 중학교는 평가 교과를 기존 5과목에서 사회와 과학을 제외했다.

보통학력 이상·기초학력·기초학력 미달 등 3단계 성취수준 가운데 최하위인 기초학력 미달 비율은 중3이 지난해 2.2%에서 올해 3.3%로 고2는 같은 기간 3.0%에서 3.4%가 모두 올랐다.

과목별로 중3은 수학이 5.2%로 가장 높았고 영어 3.4%, 국어 1.3%였다. 고2 역시 수학이 4.5%로 가장 높았고 국어 2.9%, 영어 2.8% 순이었다.

반면 보통학력 이상의 학생은 올해 80.2%로 작년보다 1.3%p 늘어 2008년 59.2%에서 5년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지역규모 간 학력격차는 좁혀지는 추세였다. 대도시와 읍·면지역간 보통학력 이상 비율의 차이는 5.0% 포인트로 작년 6.1% 포인트에서 줄었다. 기초학력 미달 비율의 격차는 올해 0.3% 포인트로 지난해 수준이었다.

또 17개 시·도 가운데 중3의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낮은 곳은 충북(1.1%), 울산(1.6%), 경북·인천(2.2%)이었다. 고3은 충북(0.7%), 울산(1.0%), 경북·부산(1.6%) 등으로 중3과 비슷했다.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일반계 학교밖에 없는 세종시로 중3이 4.3%, 고2가 4.9%였다.

교육부는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특성을 분석한 결과, 교과와 관련한 방과후 학교에 참여하는 학생 비율이 75% 이상 되는 학교일수록 중·고교 모두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낮았고 고교에서는 보통학력 이상 비율이 높았다고 설명했다.

이에 교육부는 기초학력 미달 학생들이 밀집한 학교를 지원하는 학력향상형 창의경영학교와 기초튼튼행복학교에 지원을 계속해서 추진할 계획이다.

또 초등학교에서 학업성취도 평가 폐지에 따른 학력 관리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학업성취도 평가를 재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한편 학교별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는 ‘학교알리미’ 사이트(www.schoolinfo.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