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식약처, 프로포폴 등 마약류 RFID(전자태그) 관리

입력 2013-11-27 1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가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프로포폴(일명 우유주사) 등을 RFID(전자태그)를 통해 관리한다.

미래창조과학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7일 마약류(향정신성 의약품) 생산 제약사 CEO들이 참석한 가운데, 'RFID 기반 마약류 관리 시범사업'에 대한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착수보고회에는 제약사·수입사, 병원·약국 등으로 구성된 3개 컨소시엄별로 대표들이 참석해 각각의 시범사업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시범사업의 주요내용은 제약사에서 생산하는 다양한 마약류 의약품의 겉포장(소형Box 및 플라스틱병) 및 소형 앰플(주사제) 등에 고유의 식별번호가 저장된 RFID 태그를 부착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식약처는 식별번호간 대조를 통해 불법유통 여부에 대한 실시간 추적이 가능해진다.

또 그동안 병원에서 마약류는 이중 시건장치가 있는 금고에 보관하고 반출내역은 보관대장에 수기로 기록했지만, 앞으로는 RFID 리더기가 내장된 스마트 전자금고를 활용해 식별번호를 자동으로 인식, 누가 어떤 약품을 얼마나 반출했는지를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미래부 윤종록 차관은 “RFID 기반 마약류 관리 시범사업은 우리의 우수한 ICT기술을 활용해 사회 현안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창조 비타민 프로젝트’의 대표적 사례”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